KB경영연구소 지수 조사 발표
한 달 평균 필요한 노후자금은 235만원 정도지만 예상수입은 그 절반도 안 되는 108만 60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 교육비 등에 돈을 쓰느라 자신의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는 노년이 많기 때문이다.어윤대(왼쪽) KB금융 회장과 민병덕 국민은행장이 26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첫선을 보인 KB골든라이프 서비스를 시연해 보고 있다.
KB금융 제공
KB금융 제공
KB경영연구소가 국내 3700가구를 대상으로 노후 준비 지수를 조사해 26일 발표했다. 연구소는 재무준비지수 60%, 비재무준비지수(건강, 사회적 관계, 심리적 안정) 40%로 비중을 나눠 100점 만점으로 KB노후준비지수를 산출했다.
응답자의 대부분(90%)은 노후 준비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아직 은퇴하지 않은 사람 가운데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비율은 35.4%에 불과했다. 10명 가운데 3명 정도만 노후 대비를 하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은퇴가 목전인 50대의 노후준비지수가 49.7로 가장 낮았다. 자녀 결혼 등 목돈 지출이 많을 때라 자금 비축 여력이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노후 준비를 가장 잘하고 있었다. 지수가 66.3으로 가장 높다.
가구주의 직업별로는 공무원·준공무원(67.9)의 노후 대비가 두드러졌다. 가장 노후 준비가 안 된 직업군은 자영업(46.1)이었다. 가구 형태별로는 부부 가구의 재무준비지수가 41.5로 독신가구(61)에 비해 19.5포인트 낮았다. 부부 가구 가운데에서도 유자녀 가구(40.3)가 무자녀 가구(55.7)에 비해 노후 준비가 덜 돼 있었다. 예상 월 수입도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는 149만 8000원인 데 비해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는 107만 1000원에 그쳤다.
●공무원·준공무원 대비 잘한 편
노후 생활자금을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50대는 자녀 교육비·결혼자금(46.2%, 복수응답 가능)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소득이 적어서(38%), 자산 축적에 관심이 부족해(19.3%), 빚을 갚느라(18.8%) 순서였다. 40대에서는 소득이 적어서(43.3%)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자녀 교육비·결혼자금 부담(39.8%)이었다.
노현곤 KB경영연구소 팀장은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이 그렇지만 조사 대상자의 상당수가 부동산 자산 비중이 높았다.”면서 “이를 활용해 노후 준비 부족을 보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주택연금(역모기지) 등을 활용해 부동산자산을 노후자금으로 현금화하라는 설명이다. 이렇게 할 경우 비은퇴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는 46.3에서 57.7로 무려 11.4포인트나 올라간다고 연구소는 전했다.
●KB금융 전국 영업점서 금융설계컨설팅
KB금융그룹은 연구소의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맞춤형 노후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날 KB골든라이프연구센터도 개원했다. 고객별로 노후준비 수준을 진단해주고 자산관리도 리모델링해 준다. 상담은 물론 재취업·창업도 지원해 주는 종합 서비스다. KB금융 고객이라면 누구나 전국 1200여개 영업점에서 개인별 노후준비 상태를 점검받고 금융설계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서울 중구 명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어윤대 KB금융 회장은 “골든라이프서비스 시행에 맞춰 노후설계 전문가 양성, 은퇴 패키지 상품 개발, 노후 관련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노후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2-09-27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