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암초에 서울우유 우윳값 인상 ‘삐걱’

농협 암초에 서울우유 우윳값 인상 ‘삐걱’

입력 2011-10-20 00:00
업데이트 2011-10-20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우유가 오는 24일부터 우윳값을 인상하려던 계획이 농협이라는 암초를 만나 삐걱거리고 있다.

국내 유통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가 농협의 소매가 인상폭을 빌미로 서울우유 측 인상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대형마트 3사는 “서울우유가 권고한 ℓ당 200원 소매가 인상안을 받아들일 수 없으며 농협 수준인 ℓ당 2천300원에 맞출 수 있도록 해달라”며 서울우유의 인상안을 반려한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현재 일선 할인점에서 2천150원인 1ℓ들이 흰우유 소매가를 2천300원에 맞추려면 서울우유가 권고한 200원이 아닌, 150원만 올려야 한다.

대형마트가 이 같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선 것은 지난 19일 농협 하나로마트가 “자체 유통마진을 줄여 흰우유 소매가를 2천300원까지만 올리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농협은 “서민 장바구니 물가의 안정을 위해 자체 마진 폭을 줄여 소비자가 가장 많이 찾는 흰우유값 인상을 최소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농협이 이 같은 입장을 발표하자 업태 속성상 ‘최저 가격’을 표방하고 있는 대형 할인점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농협만 아니었으면 서울우유 권고안대로 1ℓ들이 흰우유 소매가를 2천350원 안팎에서 정할 수 있었지만 농협이 2천300원에 팔겠다고 나선 이상 농협보다 비싼 가격에 팔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협처럼 자체 유통마진을 줄여 소매가를 낮추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대형 할인점들의 입장이다.

한 대형 할인점 관계자는 “농협이나 서울우유협동조합이나 다 정부의 통제를 받는, 사실상 정부 산하기관이나 다름없는 것 아니냐”며 “수많은 일반인 주주들이 있는 사기업인 우리더러 농협처럼 하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애초 서울우유가 제시한 ℓ당 62원의 유통마진은 물류비, 인건비, 매장관리비 등을 감안하면 최소한의 마진 수준”이라며 “이를 농협처럼 50원 더 깎은, 12원으로 한다면 손해를 보라는 얘기”라고 덧붙였다.

대형 할인점들은 서민 고통분담 차원에서 어느 정도의 이익감소는 감내할 수 있지만 최소한 손해를 보고 장사를 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다.

일단 대형 할인점들은 소매가를 2천300원에 맞추려면 서울우유가 납품가를 더 낮추든지,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유통업체가 입을 손실을 보전해줘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우유가 납품가를 더 깎기 어렵다고 버틸 경우 할인점들은 판촉비나 마케팅비를 더 지원받는다든가 하는 형식으로 손실을 보전받으려 할 것”이라며 “서울우유나 할인점이나 다 입장이 곤란한 상황이어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