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수수료 공화국] “국내업체 수수료도 내려라” 압박

[한국은 수수료 공화국] “국내업체 수수료도 내려라” 압박

입력 2011-10-19 00:00
업데이트 2011-10-19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정위 ‘명품 수수료’ 공개 왜

18일 공정거래위원회의 해외명품과 국내 유명브랜드의 판매수수료 비교 공개는 조사 일주일만에 신속하게,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이다. 국내 중소업체의 판매수수료 인하 약속을 ‘성의있게’ 이행하라는 압박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미지 확대
18일 공정거래위원회 브리핑실에서 지철호 공정위 기업협력국장이 해외 명품 및 국내 유명브랜드 업체의 백화점 판매수수료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18일 공정거래위원회 브리핑실에서 지철호 공정위 기업협력국장이 해외 명품 및 국내 유명브랜드 업체의 백화점 판매수수료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공정위의 해외명품과 국내 유명브랜드의 판매수수료 공개로 해외명품에는 굽실거리고 국내 유명브랜드에는 군림하는 백화점의 이중적 태도가 확인된 것이다. 공정위는 대형 유통업체의 높은 판매 수수료가 유통업체의 동반성장을 막는 가장 큰 장애요인이라고 본다. 올 들어 동반상생 기조에 맞춰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에 판매수수료 인하를 요구해 왔으나 긍정적인 답을 얻지 못하자 백화점의 ‘아킬레스건’을 공개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공정위는 해외 명품업체에는 수수료 인하에 인테리어까지 해주는 실태를 공개함으로써 국내 중소업체의 판매수수료를 해외명품 수준으로 내리든지, 해외명품의 수수료를 올려 국내 업체의 판매 수수료를 인하하는 지렛대로 삼으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판매수수료 인하 요구는 지난 2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동수 공정위 위원장은 취임 이후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연쇄회동하는 과정에서 9개 대형 유통업체 CEO들을 만났다. 당시 김 위원장은 2분기 내 판매수수료 공개 정례화를 이야기하면서 유통업체를 압박했다. 약속대로 지난 6월 30%대에 이르는 판매수수료 공개가 이뤄졌지만 대형 유통업체들은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 결국 9월 초 김 위원장이 11개 대형유통업체 CEO와 한자리에서 만나 ‘중소납품업체의 판매수수료 3~7% 포인트 인하 합의’라는 결과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인 실행방안은 유통업체의 몫이었다. 그러나 유통업체들은 약속했던 시간 내에 만족스러운 안을 가져오지 못했고 CEO들이 해외 출장을 이유로 대거 출국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백화점이 이날 공정위에 제출한 수수료 인하 계획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공정위와 백화점 간 공방은 더욱 거세질 수 있다. 공정위는 “수수료를 어떻게 개선할지 법적, 제도적인 접근 방법 모두 열어 놓고 있다.”며 백화점의 안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추가 공세를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10-19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