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홀대하는 서민금융사

서민 홀대하는 서민금융사

입력 2010-02-16 00:00
업데이트 2010-02-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민금융회사들이 지난해 비과세 예금한도 확대에 힘입어 막대한 자금을 끌어모았지만 정작 서민금융을 지원하는 데는 소홀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회사(새마을금고 제외)의 예금잔액은 224조 2000억원으로 2008년 말과 비교하면 14.0% 급증했지만, 대출잔액은 172조원으로 4.1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상호금융회사의 예대율(대출금을 예수금으로 나눈 비율)은 이 기간 83.9%에서 76.7%로 8.61% 포인트 낮아졌다. 지난해 상호금융회사 비과세 예금한도는 2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늘어나면서 예금이 급증했다. 기관별로는 수협(80.5%)과 농협(78.8%)은 예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신협(65.5%)과 산림조합(62.2%)은 60%대에 그쳤다.

새마을금고도 지난해 말 예금잔액이 68조 281억원으로 2008년 말보다 21.4% 급증했지만, 대출잔액은 38조 3241억원으로 12.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새마을금고의 예대율은 61.0%에서 56.3%로 낮아져 상호금융회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저신용자 대출에도 인색했다. 상호금융회사(새마을금고 포함)의 저신용자(신용도 7~10등급) 대출 비중은 대출자 기준 36%에 그치며 대출금액 기준으로는 30% 수준에 불과하다.

결국 서민금융회사에서 돈을 융통하지 못한 서민들은 사금융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처지인데, 그만큼 저신용자들이 대부업체를 이용했다가 피해를 본 사례가 많았다. 지난해 1~11월 금융감독원의 사금융 피해상담 건수는 5195건에 달했다. 피해 종류별로는 고금리 수취 피해가 926건으로 가장 많았고, 불법채권추심 829건, 대출사기 354건 등이었다. 이는 금감원이 사금융피해상담센터를 처음 설치한 2001년에는 상담 건수가 3265건이었다. 이후 2005년 3227건, 2006년 3066건으로 감소했다가 2007년 3421건, 2008년 4075건으로 증가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2-16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