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령대군의 「유·불 조화론」/사회발전 공헌도 재조명

효령대군의 「유·불 조화론」/사회발전 공헌도 재조명

김성호 기자
입력 1996-12-05 00:00
업데이트 1996-12-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권사 학술강연회/왕권 연연않은 무아의 경지·무소유 의식/은중·태골경 필사합본은 살신성인 자세

사단법인 청권사(전주이씨 효령대군 파종회)는 4일 하오 2시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회의실에서 「조선조 초기의 유교정치와 효령대군의 유불조화론」이란 주제로 학술강연회를 열었다.

이날 강연회에는 경북대 김정진 교수와 동국대 김영태 교수,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지견(한국전통불교연구원장) 교수가 발제에 나서 조선조 태종의 차남인 효령대군이 당시 배불사상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유교와 불교를 조화시켜 사회발전에 이바지했는지를 짚어냈다.

김정진 교수는 「효령대군의 향헌과 유교학적 의의」를 통해 향헌 오십육조를 고찰해 볼때 효령대군의 생활은 불교인이 아니라 유교인으로서 새로운 왕조 통치이념에 지대한 공헌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효령대군은 왕권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일부러 불교의 대자대비적 무아의 경지와 무소유의식을 가졌으며 해탈적 소박한 생활행적은 오히려 효령대군이 유교통치에 직간접적으로 협력한 것으로 볼 수있다고 말했다.

김영태 교수는 「조선초기 불교와 효령대군」이란 발제에서 조선초기 태종과 세종 초년의 척불시책에 의해 법난의 수렁에 빠져들던 불교교단을 한때 회생시켜 크게 불교문화를 진작시켰던 숭불왕 세조의 중흥불사도 실은 효령대군에게 힘입은 바가 크다고 주장했다.김교수는 세조는 원래 불교를 좋아했던 왕이지만 그 재위기간중 행한 많은 불사에는 언제나 효령대군의 이름이 함께 하고 있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면서 효령대군의 숭불행적이 전래의 신불의 전통을 지킨 셈이며 조선왕조 전 시기를 통해 가장 숭불한 왕으로 알려진 세조의 불교중흥불사를 언제나 효령대군이 도와 민족문화의 보배인 불전국역의 성업을 이룩하는데 큰 뒷받침이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지견 교수는 「효령대군의 경서 사경및 언해의 사회교육적 의의」에서 효령대군이 은중경과 태골경을 친히 필사해 합본으로 천안 광덕사에 모신 것은 한갓 취미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불교탄압의 모진 회오리바람속에서 살신성인한 것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특히 은중경은자식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내용이 담겨있고 태골경은 어버이가 자식을 극진히 보살피는 내용으로 대군이 당시 사회의 치유수단으로 손수 사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늘의 우리사회를 살펴볼때 600년후의 한국사회를 위해 남겨놓은 유업으로 본다고 말했다.<김성호 기자>
1996-12-05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