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70대 이후 고령자 ‘대동맥판막협착증’ 개흉 대신 스텐트로 성공적 치료 길 열려

70대 이후 고령자 ‘대동맥판막협착증’ 개흉 대신 스텐트로 성공적 치료 길 열려

입력 2012-11-05 00:00
업데이트 2012-11-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균 연령이 78세나 되는 고령자의 ‘대동맥판막협착증’을 개흉수술 대신 스텐트를 이용해 치료할 수 있다는 임상 성과가 제시됐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에서 혈액을 내보내는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의 판막이 쪼그라들어 열리거나 닫히는 데 문제가 생긴 질환이다. 운동이나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심하게 숨이 차거나 심부전·흉통·실신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협착이 중증으로 진행되면 진단 후 2년 내 사망률이 50%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다.

서울아산병원 박승정 심장병원장팀은 2010년 2월 이후 54명의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게 ‘경피적 대동맥판막스텐트술’을 적용한 결과, 96%(52건)의 성공률을 기록했다고 최근 밝혔다. 시술받은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8세였으며 이중에는 92세 할머니도 포함돼 있었다.

지금까지 대동맥판막협착증은 가슴을 절개해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치료했다. 하지만 박 교수팀이 시술한 환자들은 대부분 고령인 데다 다른 질환을 가진 경우가 많아 기존의 수술 방식으로 치료하기에는 위험한 상태였다.

의료진은 이들 환자에게 스텐트를 시술했다. 대퇴부의 혈관을 따라 혈관확장용 풍선과 스텐트를 삽입한 뒤 협착 부위에서 풍선을 부풀린 후 스텐트를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이 시술법은 수술이나 마취 부담이 없어 고령자도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의료진은 시술 후 전체 환자들을 대상으로 심장초음파 검사를 한 결과 좁아져 있던 대동맥판막 부위가 2배 이상 확대됐으며, 이에 따라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압력차가 낮아지면서 원활한 혈액 공급이 가능해졌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대동맥판막 스텐트 시술은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안전성과 치료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이라면서 “앞으로 고령이나 수술이 불가능한 중증의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11-05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