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작 논란 ‘미인도’ 원래 소장자는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위작 논란 ‘미인도’ 원래 소장자는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입력 2016-12-19 17:11
업데이트 2016-12-19 17: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檢 조사 결과 발표…“중정 부하 부인으로 부터 선물받아” 확인1980년 이후 시련 연속…“미인도 이름, 국가 헌납 뒤 붙여”

19일 고(故) 천경자 화백의 ‘미인도’ 위작 논란을 둘러싼 검찰 수사 결과 발표에서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원래 소장자가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었다는 사실도 공개됐다.

그동안 미술계 안팎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 사건으로 사형에 처해졌던 김 부장이 미인도의 최종 소유자라는 얘기가 끊이지 않았는데 검찰 수사를 통해 이 소문이 사실로 확인된 셈이다.

검찰에 따르면 천 화백은 1976년 12월 대구에서 개최된 미술전에서 화랑을 운영하는 지인을 통해 당시 중앙정보부 대구분실장인 오모씨를 소개받았다.

이듬해 오씨가 천 화백에게 그림을 구매하고 싶다고 부탁하자 천 화백은 미인도를 포함한 그림 2점을 건넸다. 이어 오씨의 처는 다시 김 부장의 부인에게 미인도를 선물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부장이 미인도를 성북구 보문동에 있던 자신의 자택에 걸어둔 시점은 1978년 9월이다.

이듬해 10월 박정희 전 대통령을 시해한 뒤 당시 전두환 장군이 이끄는 계엄사령부에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고 그즈음 미인도를 계엄사령부 산하 기부재산처리위원회에 헌납했다는 게 검찰 설명이다. 세간의 뇌리에 각인된 ‘미인도’라는 이름도 헌납 뒤 국가의 감정 과정에서 붙여졌다고 한다.

검찰은 국가기록원과 육군본부 등에서 당시 김 부장의 ‘증여재산목록’ 공문을 찾아 이를 확인했다. 증여재산목록에는 김 부장의 이름과 주소, ‘천경자 미인도’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찍혀있다.

1980년 김 부장의 손을 떠난 미인도는 작품의 위상과는 다른 ‘험한 운명’을 겪었다.

계엄사령부는 그해 2월 미인도를 재무부에 처리하라고 맡겼고 재무부는 3∼5월 2개월간 영등포 대한통운 물류창고에 쑤셔 넣고선 문화공보부에 인수를 요청했다. 문공부는 다시 이를 국립현대미술관에 떠밀었다.

국립미술관 전문위원이던 오모씨는 창고 한쪽에 놓여있던 미인도를 진품으로 판단해 인수한 뒤 미술관 수장고에 입고시켰다. 이때가 1980년 5월이다.

미인도는 이때부터 10년간 국립미술관 수장고에 보관됐다가 1990년 4∼11월 ‘움직이는 미술관’ 사업의 하나로 전국 순회 전시되며 다시 세상의 빛을 봤다.

당시 미술관 측은 미술 작품을 토대로 아트 포스터 형태로 약 900장을 제작해 판매하기도 했는데 이게 미인도의 운명을 바꿔놓을 줄은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다.

전시가 끝난 이듬해 4월 천 화백의 지인이 한 대중목욕탕에서 미인도가 그려진 아트 포스터를 보고 이 사실을 천 화백에게 알렸고 천 화백은 포스터 속 미인도가 위작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25년간 이어진 미인도 위작 논란의 시발점이었다.

미술계 일각에서는 천 화백이 실제 크기보다 확대된 포스터 이미지 때문에 착오를 일으켰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천 화백은 당시 자신이 직접 제작한 실물도 확인했지만 끝내 위작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