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검 감찰본부, ‘스폰서 김씨’ 연이틀 고강도 조사(종합)

대검 감찰본부, ‘스폰서 김씨’ 연이틀 고강도 조사(종합)

입력 2016-09-07 16:10
업데이트 2016-09-07 16: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장검사 직무정지·특별수사팀 구성…‘정식수사 전환 임박’ 관측

‘스폰서·사건청탁’ 의혹을 받는 김형준(46) 부장검사의 비위를 감찰하는 검찰이 스폰서를 자처하는 김 부장검사의 동창 김모(46·구속) 씨를 상대로 강도 높게 조사를 벌이고 있다.

7일 검찰에 따르면 대검찰청 감찰본부(본부장 정병하 검사장)는 6일과 7일 연이틀 김씨를 구속한 서울서부지검으로 검사들을 보내 현재까지 제기된 각종 의혹의 사실관계와 금전 거래 내역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검찰 관계자는 “대검으로 불러 조사할 수도 있었지만, 조사의 효율성을 고려해 직접 검사를 보냈다”며 “본인 진술 확인을 위해 조사가 여러 차례 진행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부장검사는 전자기기 유통업체를 운영한 동창 김씨로부터 금품과 향응을 받고 김씨가 70억대 사기·횡령 혐의로 고소당한 사건을 무마하기 위해 서울서부지검의 담당 검사 등 다수의 동료·선후배 검사에게 청탁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8월 말 구속을 앞두고 도주했던 동창 김씨는 언론에 자신이 김 부장검사의 ‘스폰서’였으며 김 부장검사가 서부지검 등의 검사들과 식사자리를 갖거나 만나는 등 자신의 ‘구명 로비’를 하고 다녔다고 폭로했다.

또 김 부장검사가 금품을 요구하거나 검찰 수사에 대비해 허위 진술·휴대전화 교체 등을 종용하는 SNS·문자메시지도 공개했다. ‘사법연수원 동기 검사가 간부인 곳에서 수사를 받는 게 좋겠다’며 김씨가 거래처에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에 고소장을 내게끔 부탁하는 ‘셀프고소’를 유도하는 녹취록도 언론에 제공했다.

그는 대검 감찰본부 조사에서도 같은 주장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창 김씨와 김 부장검사의 주장이 정반대로 엇갈림에 따라 감찰본부는 양측을 대질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감찰본부는 서부지검 김씨 사건 담당 검사로부터 김 부장검사와 접촉한 경위에 대한 소명을 받았으며, 김 부장검사와 과거 함께 근무해 친밀한 검사 출신인 박모 변호사 역시 최근 소환 조사했다.

박 변호사는 김 부장검사가 동창 김씨로부터 올해 2월과 3월에 각각 500만원과 1천만원 등 총 1천500만원을 받을 당시 두 번째 거래에 아내 명의 계좌를 빌려줬다. 감찰본부는 그 경위를 따져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검은 이날 법무부에 김 부장검사의 직무집행 정지를 요청했다. 법무부는 김 부장에 대해 2개월 직무집행 정지 명령을 내렸다.

아울러 대검은 그의 비위가 가볍지 않다고 보고 감찰본부 산하에 특별감찰팀을 전격 구성했다.

특별감찰팀은 안병익(50·사법연수원 22기) 서울고검 감찰부장을 팀장으로 감찰본부와 일선 검찰청 검사 4명, 수사관 10명 규모다. 대검 관계자는 “팀을 꾸린 것은 김수남 검찰총장의 의지”라고 했다.

안 팀장은 2011년 대검 감찰1과장 시절 ‘벤츠 여검사’ 사건을 처리한 공안·감찰 분야 전문가다. 대검이 특별감찰팀을 꾸린 건 2002년 ‘피의자 구타 사망 사건’으로 홍경령 전 검사를 감찰한 이후 두 번째다.

일각에선 직무정지 조치와 특별감찰팀 구성이 결국 김 부장검사에 대한 검찰의 본격 수사를 염두에 둔 조치라고 관측한다. 감찰에서 수사 단계로 전환되면 체포·구속·압수수색·계좌추적 등 강제수사가 전면적으로 가능해진다.

과거 홍 전 검사뿐 아니라 2012년 ‘피의자 성 추문’ 검사, 본인 사건을 변호사 매형에게 중개한 검사, 2013년 ‘에이미 해결사 사건’ 연루 검사, 2014년 ‘재력가 살인사건’에 등장한 부부장검사 등에 대한 감찰이 모두 직접 수사로 이어진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