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정상화 합의] 공단 포기할 수 없었던 남북… 말·행동 조심하며 ‘밀당’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 공단 포기할 수 없었던 남북… 말·행동 조심하며 ‘밀당’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합의까지 막전막후

‘뇌사’에 빠진 개성공단을 되살려 낸 7차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이 끝난 시간은 14일 오후 7시 5분. 오전 10시에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은 남북 수석대표는 9시간여 동안 회담장 안팎에서 각각 서울, 평양의 상부와 긴밀하게 연락을 취하면서 재발 방지 보장과 책임 ‘주체’ 등 막판 쟁점에 대해 마지막까지 ‘밀고 당기기’를 이어 갔다.

20일 만에 재개된 7차 회담은 시작부터 달랐다. 1~6차 회담에서 시종 굳은 표정이었던 북측 박철수 수석대표는 남측 대표단을 맞으며 미소까지 지어 보였다. 입을 굳게 다물고 악수만 해 왔던 우리 측 김기웅 수석대표도 회담장인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앞에 마중 나온 북측 대표단에 모처럼 “반갑습니다”라고 인사했다. 몸싸움까지 벌이는 등 파국으로 치달았던 지난달 25일 6차 실무회담의 험악한 분위기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입주 기업에 대한 경협 보험금 지급이 진행 중인 데다 한·미 연합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19~30일)을 앞뒀기 때문에 사실상 마지막 회담이란 각오로 나선 양측은 신중하게 회담에 임했다. 사소한 말과 행동 하나라도 조심하려는 기색이 역력했다.

북측 박 수석대표는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우린 충분히 대화할 ‘김’(논밭에 난 잡초)을 다 맸다. 남측이 적극적으로 토의에 나선다면 8·15를 앞두고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수석대표는 “남북이 뜻을 모은다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양측은 첫 전체회의를 30분 만에 끝낸 다음 오전 11시부터 1차 수석대표 접촉을 시작하는 등 ‘잰걸음’을 이어 갔다. 6차례에 걸친 회담으로 서로의 입장을 숙지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신경전을 펼칠 이유가 없었다. 당초 오후 2시로 예정된 수석대표 접촉은 오후 3시 50분에야 시작됐다. 양측은 각각 30여분씩 2, 3차 수석대표 접촉을 갖고 우리 측이 오전에 제시한 수정안과 앞서 북측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담화를 통해 내놓은 수정안을 놓고 절충점을 구체화시켰다.

정부는 북한을 개성공단 재발 방지 보장의 ‘주체’로 명시하기보다는 실질적인 결실을 맺기 위해 유연성을 발휘했다. 북측 또한 이전 회담에서 우리 측의 군사적 위협과 정치적 언동 등을 거론하면서 책임을 떠넘기려 했지만 막바지에 이르러 누그러진 입장을 제시했다.

박 수석대표는 회담이 끝난 뒤 남측 기자들과 만나 “우리 민족 모두에게 참으로 기쁜 소식을 안겨주게 되었다”면서 “(남북공동위원회는) 앞으로 좀 더 협의를 해서 효율적으로 공업지구의 발전과 정상화에 될수록 이바지하는 방향으로(진행될 것)”라고 밝혔다.

개성공동취재단 임일영·이현정 기자

argus@seoul.co.kr

2013-08-15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