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지자체들 ‘돈 주고 상 받기’ 관행 여전”

경실련 “지자체들 ‘돈 주고 상 받기’ 관행 여전”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0-12-15 16:26
업데이트 2020-12-15 1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11월 서울 종로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강당에서 조성훈 경실련 간사가 지자체·공공기관 수상 실태 전수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11.4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서울 종로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강당에서 조성훈 경실련 간사가 지자체·공공기관 수상 실태 전수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11.4 연합뉴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5일 지방자치단체들이 상을 받는 대가로 홍보비를 집행하는 ‘돈 주고 상 받기’ 관행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이 정보공개청구 등을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조사대상 지자체 9곳 중 4곳이 올해 상을 받고 1억 1000만원을 지출했다. 지난해까지 포함하면 9개 지자체는 2년 동안 상을 받고 4억 7000만원을 지출했다.

경실련은 지난해 조사에서 상을 받고 돈을 낸 지자체 중 지출이 가장 많았던 9곳을 올해 다시 조사했다. 올해 경북 청송은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사과·도시) 등을 받고 가장 많은 3500만원을 지출했다. 전북 고창(3100만원), 경북 울진(2700만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경실련은 지자체들이 상을 받고 집행한 예산 내역과 관련해 불성실하게 답변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경실련은 “충북 단양은 수상 내역을 일부 누락했고, 단양 마늘·단양 고추·귀농귀촌 등 수상 대상에 대한 홍보를 위한 지출이기에 수상과 관련이 없다고 했다”면서 “경북 김천은 지난해 조사부터 수상 자체가 없다고 밝혔지만 ‘대한민국 신뢰받는 공공혁신 대상’ 등 수차례 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경실련은 “이런 ‘돈 주고 상 받기’ 행위는 국민의 눈을 속이는 기만행위”라며 “국민권익위는 실태조사를 하고 해당 지자체에 대한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