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재명, ‘척당불기 논란’ 홍준표에 “정계은퇴를 권한다”

이재명, ‘척당불기 논란’ 홍준표에 “정계은퇴를 권한다”

오세진 기자
입력 2017-12-27 14:38
업데이트 2017-12-27 1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2010년 당시 한나라당 최고위원이었던 시절 그의 의원실에 ‘척당불기’(뜻이 있고 기개가 있어 남에게 얽매이거나 굽히지 않는다는 의미의 한자성어)라는 글자가 적힌 액자가 걸려 있던 영상이 공개돼 논란이 되고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홍 대표가 재판에서 거짓말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유력한 증거가 발견됐다면서 그의 정계은퇴를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환한 표정의 ’무죄’ 홍준표
환한 표정의 ’무죄’ 홍준표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성완종 리스트’ 관련 대법원의 무죄 선고를 받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 후 밝은 표정으로 회견장을 나가고 있다. 2017.12.22 연합뉴스
먼저 ‘척당불기’ 액자가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을 살펴보면, 앞서 고(故)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의 지시를 받고 홍 대표에게 정치자금을 전달했다는 윤모씨는 “돈을 건넬 당시 홍준표 의원실에서 이 글씨를 봤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홍 대표 측은 “의원실이 아닌 당 대표실 내실에 걸려 있었다”고 맞섰다.

결국 항소심 재판부는 금품을 전달한 장소와 동선을 설명한 윤씨의 진술을 그대로 믿기 어렵다고 판단해 1심에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은 홍 대표에게 무죄를 선고했고, 대법원은 원심을 확정판결했다. 앞서 홍 대표는 2011년 6월 당시 한나라당 대표 경선을 앞두고 고 성 전 회장의 측근인 윤씨를 통해 불법 정치자금 1억원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됐다.

하지만 탐사보도 전문매체 ‘뉴스타파’가 지난 2010년 8월 4일 MBC가 촬영한 영상을 지난 25일 공개했다. 영상이 촬영될 당시 한나라당 최고위원이었던 홍 대표는 안상수 당시 당 대표의 당직 인선안에 반발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원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가졌다.
‘뉴스타파’ 홈페이지 화면 캡처
‘뉴스타파’ 홈페이지 화면 캡처
뉴스타파가 공개한 MBC 영상에서 5분 55초가 지났을 무렵 홍 대표의 뒤로 벽에 걸린 4개의 액자와 병풍이 카메라에 들어왔는데, 그 중 네 번째 액자가 윤씨가 봤다고 진술한 ‘척당불기’ 액자였다.

뉴스타파는 “‘척당불기 글씨는 단 한번도 의원실에 걸려있지 않았다’는 홍 대표 측의 주장이 사실이 아님이 물증으로 확인됐다”면서 “‘돈을 전달할 당시 홍 의원실에서 분명히 척당불기라고 쓰인 글씨를 봤다’는 윤씨와 윤씨를 증인으로 내세운 검찰이 추가 증거를 내놓지 못하면서 논란은 흐지부지됐다. 사실상 홍 대표의 주장을 깨뜨릴 중요한 증거 하나가 날아간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재명 시장은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돈을 받고 안 받고를 떠나 제1야당 대표가 신성한 법정에서 재판의 핵심 증언을 탄핵하려고 거짓말을 한 것이 사실이라면 그것만으로도 홍 대표는 국민을 대표하고 대한민국 헌정질서를 지키는 공인이 될 자격이 없다”면서 홍 대표에게 “이제 그만 대표직을 사퇴하고 정계를 은퇴하십시오”라고 권했다.
이재명 성남시장. 성남시 제공
이재명 성남시장.
성남시 제공
이 시장은 “(대법원의 무죄 확정 판결로) 홀가분해 진 홍 대표는 법과 국민을 비웃는 마음으로 즐겁겠지만, 이 나라의 주인과 민주헌정 질서는 피눈물을 흘린다”면서 “좋은 세상 만드는 검사가 되려는 꿈으로 법서를 펼쳐 들던 그 초심으로 돌아가 야당이 살고, 정치가 살고, 나라와 국민이 사는 길을 열기 바란다. 그것이 홍 대표가 인간으로서 품격을 유지하며 살 수 있는 마지막 길이기도 하다. 부디 안녕히 가십시오”라고 덧붙였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