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늙은 아파트의 도시… 서울은 ‘공사 분쟁’ 중

늙은 아파트의 도시… 서울은 ‘공사 분쟁’ 중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6-10-18 22:42
업데이트 2016-10-19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동주택 31% 입주 25년 넘어… 신축·철거·인테리어 공사 많아

소음 피해 이웃 간 다툼 늘어나… 일부 주민 반대로 공사 중단도

“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공사 중 교통 혼잡 등을 이유로 반대해 기숙사 신축이 6개월간 중단됐습니다. 원만히 해결이 됐으면 좋겠는데 어렵네요.”

이미지 확대
대학 기숙사 건립이 예정된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국유지 인근 아파트 단지에 18일 기숙사 건립을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대학 기숙사 건립이 예정된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국유지 인근 아파트 단지에 18일 기숙사 건립을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한국사학진흥재단 직원은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국유지(5164.4㎡)에 월 20만원짜리 대학생 기숙사를 지어 2018년에 문을 열 예정이지만 주민의 반대가 너무 거세다며 답답해했다. 18일 찾은 아파트에는 ‘독서할 수 있는 공원으로 만들어 주세요’, ‘대학 기숙사는 대학 안으로’ 등의 플래카드가 붙어 있었다. 재단 관계자는 “주민들이 기숙사를 짓는 동안에는 교통 혼잡과 소음을, 이후에는 대학생들의 고성방가를 문제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 노후 건물이 급증하고 자투리 토지 개발이 곳곳에서 진행되면서 공사로 인한 분쟁이 늘고 있다. 주위 공사 현장의 소음이나 분진 때문에 심각하게 이주를 고민하거나 인테리어 공사의 소음 발생에 대해 입주민의 동의를 얻지 못해 공사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관악구 봉천동에 사는 김모(29)씨는 지난 8월부터 집 주변에서 진행되는 2건의 신축 공사로 아침잠을 이룰 수 없다며 스트레스를 호소했다. “주말이면 하루 종일 시끄러워서 아예 다른 곳으로 피신을 갑니다. 1인 가구가 많아서 그런지 봉천동이나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인근에서 노후된 다세대주택을 부수고 원룸을 짓는 곳이 5곳은 족히 되는 거 같아요.”

최근 이사를 앞두고 내부 인테리어를 위해 바닥 철거 작업을 진행한 이모(32)씨는 “집이 6층인데 민원이 쇄도할까 봐 공사 이틀 전에 3층부터 9층까지 일일이 찾아다니며 허락을 받았다”면서 “짜증을 내는 사람도 있었지만 민원 때문에 공사를 시작도 못 하는 경우가 꽤 있다고 인테리어 업자에게 들었다”고 전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소음 민원은 4만 1286건으로 2014년보다 24.2%(1만 11건) 증가했다. 늘어난 민원 중 공사장 소음이 97%(9782건)로 대부분이었다. 2008년부터 서울시 환경분쟁제도를 통해 처리된 사건 602건 중 소음 관련 사건도 68.6%(413건)였다.

건축물 공사 분쟁의 가장 큰 이유는 노후 주택의 증가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이 서울시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동주택 1만 9980동 중 6027동(31%)이 입주한 지 25년이 지났다. 강동구는 노후 공동주택이 전체의 48%나 됐고, 금천·종로·노원구도 45% 이상이었다. 1980년대에 주로 개발된 강남구도 노후 주택 비율이 42%였다.

최창식 한양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서울은 먼지나 소음을 유발할 노후 건축물이 많고 시설 간의 간격도 좁고 과밀화돼 있다”며 “사회적 비용이 다소 발생해도 소음·진동을 줄이는 건설공법을 사용하고 공사 기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등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협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10-19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