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소녀들 성인식 잔인한 전통 아닌 전통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 1964년 김수영이 발표한 시 ‘거대한 뿌리’의 한 구절이다. 이 문장에 대한 해석은 보통 이렇다. ‘시인은 서구 근대화의 폐해를 인식하고, 한국 고유의 전통을 옹호했다.’ 그렇지만 김수영이 염두에 둔 전통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민족의 순수한 근원을 추구하는 태도는 그가 생각하는 전통과 상관이 없다. 모든 억압에 저항하는 시도와 연결될 때, 김수영의 전통은 비로소 참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복종을 강요하는 권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자유의 또 다른 이름이다. “요강, 망건, 장죽, 종묘상, 장전, 구리개 약방, 신전, 피혁점, 곰보, 애꾸, 애 못 낳는 여자, 무식쟁이,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는 시구가 뒤에 괜히 이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보면 중동·아프리카에서 지금도 자행되는 ‘FGM’(Female Genital Mutilation: 여성 성기 절제)은 전통이라고 할 수 없다. FGM은 사라져야 할 악습일 뿐이다. 어떤 사람들은 문화의 상대성을 내세우며 FGM을 계속 지키려 한다. 부족 문화인 FGM에 외부인이 왈가왈부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사회적 약자의 희생에 바탕을 둔 채 지속되는 행태를 ‘문화’라고 규정한다면, 우리가 그 문화를 존중해야 할 까닭은 없다.

FGM은 여성에게만 가해지는 폭력이다. 음핵을 제거하거나 대음순과 소음순을 잘라내 봉합하는 위험한 시술을 하는 이유는 간명하다. FGM을 받아야 철모르는 소녀에서 우아한 여자로 성장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끔찍한 성인식이다. FGM은 여성을 남성의 소유물로 만든다. FGM을 받은 소녀는 독립적인 여자가 아니라 얌전한 아내로서 새로운 삶을 살게 된다. 섹스에 흥미를 느끼지 않고(느낄 수 없고), 육아와 살림에만 충실하며, 남편에게 순종하는 인생이다.

다큐멘터리 ‘소녀와 여자’를 보고 나서 이러한 사실들을 알게 됐다. 이제 나에게 ‘2월 6일’은 유엔이 정한 ‘FGM 반대의 날’로 기억될 것이다. 김효정 감독은 연출의 변에서 이렇게 밝힌다. “이 영화를 보고 FGM에 대해 알지 못했던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게 된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한 걸음이 될 수 있다고 믿어요. 그 길을 함께 걸으며 응원하고 싶어요.” 적어도 한 명의 관객에게 그녀의 의도는 정확하게 실현된 셈이다.

‘소녀와 여자’는 중립적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 FGM 찬성과 반대쪽 의견을 같이 보여 주기는 하지만, 명백히 FGM을 반대하는 입장에 선다. 보는 사람이 스스로 질문하도록 이끌기보다 보는 사람을 계몽시키려는 목적이 강한 영화다. 다큐멘터리로서 좋은 자세는 아니다. 그런데 FGM이라는 문제적 대상을 고려하면, 편향성에 기꺼이 동의하게 된다. 소녀는 FGM을 받아 여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소녀가 진짜 여자가 되는 것은 FGM받기를 거부하고, 집에서 도망치기로 결단한 순간이다. 본인이 직접 자기 삶의 방향을 선택할 때, 어린이는 어른이 된다. 16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