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부만 하면 ‘진짜 삶’ 사라진다

공부만 하면 ‘진짜 삶’ 사라진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5-12-11 17:44
업데이트 2015-12-12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부 중독/엄기호·하지현 지음/위고/196쪽/1만 3000원

영화 ‘사도’에서 영조는 “내가 네 나이 때는 단 한순간도 공부를 하지 못할까 두려워했는데 너는 이런 좋은 환경에서도 공부를 게을리하느냐”며 사도세자를 나무란다. 이 영화가 특히 학부모들의 이목을 끈 데는 ‘공부 못하면’ 사도세자처럼 뒤주에 갇혀 죽을 수 있다는 교훈 때문일지도 모른다. 공부는 우리 사회에서 부모와 자식 간에 영원히 넘을 수 없는 벽일 게다. 이 땅의 수많은 학부모들에게 사실 공부는 우리 시대의 성공 혹은 성공적으로 살아남는 유일한 방편이자 ‘판타지’가 아닐까.

이미지 확대
사회학자 엄기호는 공부하는 것을 좋아했고, 공부로 먹고 살고 있지만 어느 순간 공부하는 게 고역이고 지겹기만 하다고 고백한다.

그가 제자들 앞에서 한 마리의 ‘똑똑한 원숭이’가 된 느낌이라고 말하는 건 자신이 펼치는 화려한 언변과 풍부한 지식에 학생들이 감탄하고 박수를 치지만 정작 배움과 성장은 사라져 버린 ‘서커스(공연) 같아서’라는 속내가 덧칠돼 있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서 공부는 무엇일까. 엄기호는 공부가 ‘한국이라는 나라 전체가 빠진 모순’이라고 지적한다.

또 다른 저자이자 엄기호와 대담을 나눈 정신과 전문의 하지현은 ‘공부의 블랙홀에 빠진 부모는 공부에 중독된 아이를 만들고, 그 아이들이 사회에 나온다. 공부 백 퍼센트짜리 순도 높은 존재일 뿐 사회성, 공감능력, 유연성 같은 요소는 상대적으로 결핍된 상태’라고 진단하며 더욱 기가 찬 건 공부를 통해 해결될 수 없는 요소도 책과 학원을 찾으며 공부로 해결하려고 한다고 한탄한다.

이 대담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특히 486세대 부모들은 하지현의 지적대로 공부만 잘하면 잘살 수 있다는 생각이 자기 몸으로 체득된 세대다. 1980년대 초반에 졸업정원제가 있어서 어렵지 않게 대학에 들어가고, 취업할 무렵에는 한창 경기가 좋아 대졸 일자리가 넘쳐났다.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 불었던 신도시 열풍으로 집도 손쉽게 살 수 있었다. 운이 좋았던 이 세대는 본인들이 잘해서 성공했다고 생각하고, 자기가 했던 방식을 복제해 자녀들에게 강권한다. 실상은 지금 아이들에게 자기 부모보다 더 성공하는 건 훨씬 어려운 데도 말이다.

공부 중독은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시대의 문제라고 저자들은 단언한다. 공부가 삶의 영역들을 식민화하면서 ‘진짜 삶’이 사라지고, 한국 사회 전반을 관통하는 공부라는 판타지가 해법이 된 사회에서 진정한 공부는 무엇인지 알려준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5-12-12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