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아메리칸드림 창녀로 전락한 여신

‘이민자’는 자유의 여신상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한 남자의 시선으로부터 시작한다. 오른손에는 횃불을, 왼손에는 독립선언서를 든 자유의 여신상은 뉴욕 항구를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이민자들이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구조물로, ‘아메리칸드림’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이다. 이민자들은 이 거대한 조각상을 바라보며 같은 희망을 품었을 것이다. 그러나 첫 장면에서 그녀는 앞모습을 보여 주지 않는다. 대신, 25분의 러닝타임이 흐른 후 두려움과 불안으로 떨고 있는 한 여인이 자유의 여신상으로 분장한 채 등장한다.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지만 영혼은 피폐해졌고 육체는 남성들에게 농락당하기 직전의 여신이다. 1920년대, 자유와 기회의 땅을 찾아온 이민자들에게 아메리칸드림의 실패는 이처럼 창녀로 전락해 버린 여신과도 같은 것이었으리라.

전쟁을 피해 엘리스 섬에 도착한 체코 출신의 ‘에바’는 미국 이민의 단꿈에 젖어 있다. 그러나 당장 입국 심사장에서 여동생이 폐질환으로 격리되고 자신도 추방될 위기에 처하자 그녀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생면부지의 ‘브루노’에게 간절히 도움을 청한다. 극장에서 쇼를 하는 브루노는 그녀를 그곳에서 빼내어 잠자리와 일자리까지 주선하지만, 에바와 같은 처지의 여성들이 할 수 있는 일은 극도로 제한되어 있다. 동생을 데려올 돈을 마련하기 위해 자유의 여신이 되어 무대에 선 에바는 남성들의 검측스러운 눈길을 피하지 못하고, 급기야 몸을 팔기에 이른다.

동생과 생이별을 한 채 온갖 수치를 당하는 에바는 물론이요, 에바를 사랑하면서도 그녀를 남성들의 노리개로 만드는 브루노, 미국에 정착하는 데 성공했지만 여동생조차 내쳐버리는 에바의 언니와 형부는 아메리칸드림의 허상을 낱낱이 들춘다. 같은 약자인 그들이 서로를 속이며 경계하고 반목하는 모습은 그들의 가난보다 더 가슴 아프다. 그러나 몇 차례 폭풍을 겪은 후, 인물들이 다시 엘리스 섬으로 돌아가 저마다의 돌파구를 찾아 떠나는 마지막 장면은 실낱 같은 희망을 남긴다. 그렇게 그들의 삶은 계속되었고, 자유의 여신상은 여전히 그 위용을 자랑하며 서 있다. 영화의 후반부에서 에바가 신과 주변인들에게 용서를 구하는 장면은 의미심장하다. 용서를 구해야 할 주체와 대상은 과연 누구인가.

제임스 그레이 감독은 이민자들의 고단한 삶이 한낱 흔한 통속극의 소재로 치부될까 조심스레 접근한다. 차분한 브라운 톤의 화면을 통해 인물들의 암담한 상황과 심정을 충분히 전달하면서도 처절한 밑바닥의 삶을 결코 천박해 보이지 않도록 절제한 연출에서 그 시절 이민자들에 대한 애틋함이 묻어난다. 오히려 한순간도 기품을 잃지 않는 이 영화에서, 마리옹 코티아르는 화룡점정이라고 할 만하다. 그레이 감독은 그녀의 우아함을 통해 이민자들의 아픔을 격조 높은 멜로드라마로 승화시켰다. 현실의 고통과 예술의 아름다움을 동시에 맛보게 하는 작품이다. 15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