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만화 원작 ‘심야식당’ 한국판 새 캐릭터, 상징성 약화…대만 원작 ‘너를 사랑한 시간’ 특정 구두 브랜드 노출 빈번

안방극장에 리메이크 드라마가 줄을 잇고 있지만 반응이 시원치 않다. 드라마와 영화로까지 만들어진 일본 만화 ‘심야식당’을 리메이크한 SBS ‘심야식당’은 첫 방송 직후 혹평이 쏟아졌고 대만 드라마 ‘아가능불회애니’(我可能不會愛?)를 옮겨 온 SBS ‘너를 사랑한 시간’은 ‘드라마 여왕’인 하지원을 앞세우고도 아직까지는 미적지근한 분위기다.

시청자들이 ‘매의 눈’으로 지켜보고 있는 탓에 성공해 봐야 본전이요, 조금이라도 기대에 못 미치면 혹독한 비판을 받는다. ‘수상한 가정부’(2013) ‘내일도 칸타빌레’(2014) 등 일드(일본 드라마) 리메이크작들은 리메이크 자체에 대한 거부감마저 키워 놓았고, 대드(대만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로맨틱 코미디물들은 달콤함과 진부함 사이를 오가고 있다. 드라마 마니아들이 지적하는, 리메이크 드라마들이 ‘발목 잡히는’ 요인들을 짚어 봤다.

외국 원작의 리메이크에서 현지화는 필수다. 그러나 어설픈 현지화는 신선했던 원작을 그저그런 범작(凡作)으로 주저앉히곤 한다. 한국판 ‘심야식당’은 ‘한국 정서’를 이유로 게이바 마담과 스트립 댄서 등 원작의 주요 캐릭터들을 삭제했다. 시청자들은 이들이 ‘낮’으로 상징되는 주류 세계에서 소외된 인물들로, 밤에만 문을 여는 식당이라는 배경에서 빠질 수 없는 캐릭터라고 지적한다. 한국판은 한의사 ‘돌팔이’와 ‘뚱녀’, 화류계 여성 ‘체리’를 투입했지만 삭제된 캐릭터들의 상징성을 대체하지 못한다는 게 중론이다.

‘너를 사랑한 시간’ 역시 원작 캐릭터들의 성격에 변화를 준 것에 대한 호불호가 갈린다. 매사 똑 부러지고 정의감이 투철한 커리어우먼 ‘청요칭’은 귀여운 이미지에 유약한 모습까지 보이는 ‘오하나’로, 답답하다 싶을 정도로 다정하고 자상한 순정남 ‘리다런’은 오하나 앞에서 깐죽대고 까칠하기까지 한 ‘최원’으로 바뀌었다. 기존의 한국 로맨틱 코미디에서 흔히 봐 온 캐릭터 탓에 드라마는 “무난하다” 혹은 “진부하다”로 평가가 엇갈린다. 원작 드라마의 한 팬은 “원작은 30대에 갓 들어선 남녀가 성장하는 과정을 진지하고 따뜻하게 그린 점이 매력이었는데 한국판은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현지화를 거쳐야 할 대목에서는 오히려 원작을 고수하는 우를 범하기도 한다. 이는 특히 일본 원작의 리메이크에서 두드러진다. ‘심야식당’은 원작의 일본식 식당을 고스란히 재현해 도무지 서울 종로 뒷골목에 있을 법한 식당으로는 보이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온다. ‘사장님’ 대신 ‘마스터’라는 호칭도 이질감을 준다. ‘여왕의 교실’(2013)의 경우 교사 마여진이 학생들을 혹독하게 대하는 모습이 한국 정서상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의견이 많았고 ‘수상한 가정부’는 원작을 똑같이 옮겨 와 ‘복사 드라마’라는 오명을 떠안기도 했다.

간접광고(PPL) 또한 원작의 미덕을 해치는 주요 원인이다. 의상, 인테리어, 소품 등 화면 전반에 화려함이 깃들면서 원작 본연의 정서를 훼손한다. ‘심야식당’의 세트에는 허름한 서민 식당에 어울리지 않는 반질반질한 그릇과 고급 조리도구들이 진열돼 있다. ‘심야식당’은 국내외 조리도구와 식기업체들로부터 제작 지원을 받는다. ‘너를 사랑한 시간’ 또한 극 중 오하나가 구두 회사의 마케팅팀장으로 설정되면서 특정 구두 브랜드가 빈번하게 노출된다. ‘내일도 칸타빌레’는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는 고학생 여주인공의 자취방이 지나치게 넓고 화려한 점을 지적받은 바 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