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의 미학이 깃든 차태현표 ‘힐링’

“인생에 조연은 없다. 누구나 주인공이다.”

폐쇄회로(CC)TV 관제센터에서 화면을 통해 수많은 사람의 삶을 관찰하던 여장부(차태현)는 나지막이 이렇게 읊조린다. 수백개의 화면 속에는 매일 혼자 야구를 하는 남자, 폐지를 줍는 소년, 애틋한 첫사랑 등 우리네 일상의 희로애락이 모두 담겨 있다.

‘슬로우 비디오’는 현대사회의 화두인 ‘느림의 미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화다. 본인 영화의 특징을 “지루함”이라고 거침없이 말하는 김영탁 감독은 관객들에게 “다들 자신의 인생을 잘 살아 내고 있으니 재촉하지 말라”는 위로의 메시지를 에둘러 전한다.

영화는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 항변이라도 하듯 화면 구성도, 이야기 전개도 아날로그 방식이다. 영화 속 주인공 여장부는 움직이는 물체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지하는 동체 시력의 소유자다. 찰나의 순간까지 포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으나, 오히려 그 능력 때문에 어린 시절 친구들의 놀림을 받았던 그는 마음의 상처로 20년간 집 안에서 칩거했다. 그런 그가 CCTV 관제센터의 직원으로 채용되면서 다시 세상에 나온다. 하지만 20년을 세상에서 격리된 채 살았던 그의 모든 행동은 현실과 동떨어진다.

그런 그에게 어느 날 사랑의 순간이 찾아온다. 우연히 첫사랑 수미(남상미)를 발견한 그는 앞뒤 재지 않고 돌직구형 고백을 날린다. 뮤지컬 배우 지망생인 수미는 매일같이 쫓아다니는 사채업자에게 큰소리를 치고 길거리에서 전화로 오디션을 볼 정도로 외향적이고 열정적인 인물. 장부의 뜬금없는 사랑 고백에 당황하지만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어디선가 나타나 도와주는 그에게 조금씩 마음을 연다.

독특한 캐릭터와 흥미로운 에피소드로 전개되던 영화는 후반부 신파조로 흐르면서 뒷심이 달린다. 코미디로 시작해 휴먼드라마로 마무리 짓는 코드를 적용해 식상할 수도 있지만 대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감독이 지나치게 많은 이야기를 담으려 한 탓에 산만해진 것은 다소 흠이다. CCTV를 소재로 인생의 의미를 고민하려는 시도는 참신했으나 전체적인 화학작용을 일으켜 드라마를 풍성하게 만드는 데는 역부족이다. 인물 캐릭터들은 선명하다. 전작들보다 코미디 강도는 덜하지만 여전히 강력한 개성을 드러내는 차태현, 청순함 대신 부스스한 파마에 털털한 연기를 선보이는 남상미가 극의 중심을 탄탄히 잡아 준다. 장부를 타박하다가도 은근히 뒤에서 챙겨 주는 속 깊은 관제센터 동료를 연기한 오달수도 든든하다. 2일 개봉. 12세 관람가.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