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 국제스마트폰영화제 집행위원장 이준익 감독

고주망태가 된 남성이 현관문 앞에서 도어록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도어록을 닫으면서 생기는 마찰음이 ‘탁’ 하고 울린다. 문이 열렸는지는 알 수 없다. 영상 길이는 6초가 전부다. 무한 반복되는 이 6초짜리 영상은 올해 올레 국제 스마트폰 영화제 6초 부문에서 특별상을 수상한 최보윤 감독의 ‘집에 언제 들어가지’다.

이준익 감독은 1회 때부터 올해까지 올레 국제스마트폰영화제의 집행위원장을 맡아 왔다. 지난 15일 개막식을 앞두고 인터뷰에서 활짝 웃고 있는 이 감독. <br>KT 제공
올레 국제 스마트폰 영화제가 올해로 4회째를 맞았다. 올해는 6초짜리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바인’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한 6초짜리 영화 경쟁 부문이 신설됐다. 6초짜리 영상을 영화라고 할 수 있을까. 개막식이 열린 지난 15일 서울 광화문 올레 스퀘어에서 집행위원장인 이준익 감독에게 직접 물었다.

이 감독은 “6초짜리 연장된 이미지가 무한 반복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담론을 할 수 있다”며 “20세기적인 영화 내러티브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초 단위 영화는 새로운 장르”라고 말했다. 미디어 제작과 소비 환경이 바뀌면서 나타난 새로운 이야기 창출 방식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내내 6초 영화에 대해 대단한 애착을 보이며 “6초 영화는 확산성과 동시성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이 감독은 “10분짜리 아주 좋은 단편을 만들었어도 언어나 문화가 다르면 소통에 한계가 있다”면서 “6초만큼은 국적 불문, 역사 불문하고 전 세계 동시대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놀라운 시간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도 6초 영화를 만들어 본 적이 있을까. 이 감독은 “저도 6초 영화를 시도해 봤지만 정말 만들기 어려웠다”며 “6초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인이나 인스타그램 등 콘텐츠의 유통 틀, 즉 디지털 네트워크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스마트폰 영화가 상업적으로 소비될 수 있느냐는 질문엔 “아직은 한계가 있지만 미디어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상업적 콘텐츠가 될 수 있다”고 낙관했다. 이미 2012년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에 아이폰으로 촬영한 영상을 접목시킨 부집행위원장 봉만대 감독은 “올해 하반기 4K(풀HD 화질의 4배) 수준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폰 발매가 예정돼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면서 “언젠가는 영화 쪽에서 스마트폰 촬영 방식을 광범위하게 흡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영화제 수상작은 17일까지 메가박스 강남점에서 상영된다. 공식 홈페이지와 올레tv, 네이버TV캐스트 등 온라인으로는 다음달 15일까지 볼 수 있다. 이번 영화제에는 세계 43개국에서 약 1000여편의 작품이 출품돼 경쟁을 벌였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