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그것이 알고 싶다’, 파주 살인사건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다뤄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파주 토막살인 사건의 미스터리를 추적했다.

‘그것이 알고 싶다’ 제작진은 지난 28일 방송분에서 최근 파주시에서 발생한 토막살인 사건의 감춰진 진실, 특히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제작진에 따르면 지난 5월 31일 인천 남동공단의 한 공장 앞에서 검은색 여행가방 하나가 발견됐다. 가방에서 심한 냄새가 났고 주위에는 파리가 들끓었다고 목격자는 전했다.

검은 가방을 열자 나온 것은 남성 시신의 상반신이었다. 시신에는 30여 차례 칼에 찔린 자국이 있었고 다리를 비롯한 하체는 보이지 않았다. 확인 결과 피살자는 가출 신고가 된 50대 남성이었다. 일자리를 알아보겠다며 집을 나선 그가 왜 이런 처참한 모습으로 발견된 것인지가 의문이었다.

범인은 시신을 꼼꼼하게 싸맨 붉은 천에 긴 머리카락과 손톱 조각을 남겼다. 시신 유기장소를 비추던 CCTV에는 범인의 자동차가 흐릿하게 찍혀 있었다. 긴 머리카락과 깔끔한 시신 처리는 범인이 여성일 가능성을 농후하게 나타내고 있었다. 경찰은 확보된 단서로 범인을 특정했고, 용의자로 30대 여성을 긴급 체포했다. 범행 장소에서 CCTV에 포착된 범인은 긴 생머리에 검은 미니스커트를 입은 모습이었다.

그러나 의문점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젊은 여성 혼자서 저질렀다고 하기엔 범행 수법이 너무도 잔인했다. 공범과 추가 범행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후 경찰은 그녀의 진술에 따라 파주의 한 농수로에서 피해자의 다리를 찾아냈다. 이 30대 여성은 대체 왜 이런 엽기적인 살인을 저지른 것일까?
경찰 조사가 시작되자 그녀는 피해 남성이 자신을 강간하려 했다고 여러 차례 주장했다. 오히려 자신이 피해자이며, 정당방위 차원에서 했던 행위라고 강변했다. 그러나 범행에 사용된 도구들과 계속되는 그녀의 묘한 행동은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케 했다. 얼마 후 그녀는 그간의 진술을 뒤집고 범행을 전면 부인하기 시작했다. 그 남자를 살해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 것.

이날 방송을 통해 파헤친 피의자의 행동은 극히 비정상적이었다. 모텔에서 살인을 저질렀다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평온한 상태로 상대 남자의 카드를 들고 쇼핑몰을 돌아다니며 쇼핑을 즐겼는가 하면 그의 카드로 시신을 훼손한 전기톱과 훼손된 시신을 이동하는데 쓰인 여행가방을 사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남자의 카드를 가지고 쇼핑몰 내 귀금속 매장을 여러 차례 들러 순금 물건만을 찾았고 “남자친구에게 선물을 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는 피의자의 핸드폰에 찍힌 빚독촉 문자 등을 통해 현금으로 바꾸기 쉬운 물건만 골랐던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범죄 심리학자 표창원 박사는 피의자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보고 “돈이 범행동기인 것은 맞지만 그것만은 아니다”라며 “이 사람이 동정을 해야 할 사람인지 끔찍한 악마인지 모르겠다. 이 부분이 섞여있고 대단히 위험한 사람이다”고 판단했다.

피의자의 지인은 피의자에 대해 “항상 넉넉하게 살았다”고 했다. 그의 SNS에는 삶을 과시하려는 듯 한 명품 가방과 해외여행 사진이 즐비했다. 그러나 모두 독사진뿐이고 친구들이 쓴 댓글도 없었다. 피의자의 사회성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는 SNS를 이용하는 이유와 많이 동떨어진다. 그의 SNS에는 함께한 사람도 없고 메시지도 없고, 누군가와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나누겠다는 의사도 전혀 없다. 전시와 과시. 나를 예쁘게 멋지게 포장하고 보여주겠다는 의도만 담겨있던 것.

정신과 전문의 최진태 박사는 피의자에 대해 “인격장애가 있다. 남에게 과시하고 싶어 하고 인정받고 싶어 하는 부분이 있다”면서 “감정이나 정서의 변화가 극단적이다. 내면에는 자기 자신의 의존성을 충분히 채우고자 하고 유지시키고자 하는 대상을 찾아 끊임없이 접근하려 한다”고 진단했다.

특히 8가지 항목으로 확인할 수 있는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판단에서 피의자는 여러 가지가 해당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질문 중에는 ‘주목받지 못하면 불안해 한다’, ‘성적으로 유혹적이거나 자극적이다’, ‘관심을 끌기 위해 외모를 이용한다’ 등의 항목이 있었다.

이날 방송 말미에 MC 김상중은 “범행 동기에 정신병이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피의자에게 면죄부를 주기 위함이 아니다. 범죄사건은 독립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범죄가 일어나는 배경에는 가정 사회 나아가 정부 정책의 문제가 연결돼 있기 때문에 이를 살펴보는 것이다”고 이유를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