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하디의 ‘테스’는 다분히 통속적인 멜로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편협한 인습 때문에 파멸에 이르는 한 여성의 인생을 통렬하게 그려냄으로써 지금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소설이다. ‘인 디스 월드’(2002), ‘관타나모로 가는 길’(2006) 등을 연출했던 마이클 윈터바텀 감독은 ‘트리쉬나’에서 현대의 인도에 테스의 모진 운명을 옮겨 놓는다. 고전(古典)의 보편성 덕분에 영화의 마디마디에는 은근한 힘이 느껴진다. 그런데 이 영화, 원작보다 더 비극적이다.

가족을 부양해야만 하는 가난한 시골 처녀 ‘트리쉬나’(프리다 핀토)는 그녀에게 반한 부잣집 아들 ‘제이’(리즈 아메드)의 호텔에서 일하게 된다. 그러나 제이와 우연히 하룻밤을 보낸 후, 그녀는 신분차와 세간의 눈을 의식한 듯 황급히 고향으로 돌아온다. 제이는 다시 그녀를 찾아와 뭄바이로 가서 함께 지낼 것을 제안하고, 트리쉬나는 자신만을 생각했다는 제이의 고백에 당장 그를 따라나선다. 이후, 두 사람은 뭄바이에서 행복한 한때를 보내지만 트리쉬나가 제이의 아이를 낙태했다는 사실을 털어놓자 그의 태도가 돌변하고, 결국 사랑은 파국으로 치닫는다.

트리쉬나가 테스보다 더 불행한 여성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녀를 사랑한 것도, 농락한 것도 한 남성이라는 것이다. 다른 남자와의 과거도 아니고, 자신의 아이를 낙태한 일조차 받아들이지 못하는 제이의 옹졸함은 비극의 시작일 뿐이다. 뭄바이에서 제이의 공개적인 연인이었던 트리쉬나는 시골 호텔에 와서 일개 종업원이자 비밀스러운 성적 노리개로 전락해버린다.

만약 뭄바이에서 트리쉬나가 제이를 떠났더라면 치정극은 피할 수 있었겠지만, 그녀는 두 가지 이유 때문에 그를 따라간다. 먼저, 그녀는 사회적 약자로서 제이의 동거녀였던 과거에 묶여 있다. 잔인한 도덕률의 그물을 벗어날 수 없었던 19세기 소설 속 여주인공의 운명이 낡은 인습을 간직한 21세기 인도에서도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어느 정도 사회의 책임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녀는 -불행히도- 제이를 사랑하고 있다. 이번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다. 그러나 거부하기 어려운 것은 매한가지이다. 멜로드라마의 완성을 위해 필요한 불가항력적인 운명은 이 영화에서도 이렇게 ‘사랑’이라는 허울 아래 작동하고 있다.

영화는 자이푸르, 라자스탄, 뭄바이 등 시골부터 도시까지 인도의 여러 공간을 프레임에 담아내며 변해가는 두 남녀의 심리와 관계를 암시한다. 트리쉬나의 고향은 궁핍하지만 가족이 있어 푸근하고 평화로운 공간으로 묘사된다. 또한, 두 사람이 사랑에 눈떠가는 호텔은 아름답고 서정적이며, 공개적인 연애를 했던 도시는 화려하고 떠들썩하다. 그러나 사랑이 소강상태에 이르면서 머무는 호텔은 어딘지 삭막하며 긴장감이 감돈다. 트리쉬나는 결국 그 긴장감에 종지부를 찍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더이상 누군가의 하녀도, 처녀도, 창녀도 아닌 트리쉬나가 스스로 죗값을 치르는 마지막 장면은 오히려 담담하다. 그녀는 이제 ‘테스’의 부제처럼 ‘순결한 여인’으로 남을 것이다. 다만 그것을 알아줄 사람이 곁에 없다는 것이 이 영화가 원작보다 비극적으로 다가오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20일 개봉. 청소년 관람불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