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자와의 차 한잔] ‘협동조합의 오래된 미래 선구자들’ 펴낸 한살림 윤형근 상무

[저자와의 차 한잔] ‘협동조합의 오래된 미래 선구자들’ 펴낸 한살림 윤형근 상무

입력 2013-06-22 00:00
업데이트 2013-06-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싹’ 협동조합? 200년 전부터 뿌리 있었죠

요즘 협동조합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뒤 협동조합 신청은 1000여건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일부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와 지자체는 앞다퉈 협동조합 설립을 지원하고 있지만 자발적이고 자치적인 협동으로 전개돼야 할 운동이 자칫 법과 제도의 지원만을 바라며 사회적 의미를 잃어버릴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협동조합의 올바른 정신은 무엇이며, 어떤 정체성을 가져야 할까. 이런 물음에 대한 답이 ‘협동조합의 오래된 미래 선구자들’(윤형근 엮고 씀, 그물코 펴냄)에 담겼다. 제목에서 시사하듯 역사 속의 사례를 통해 교훈을 얻고 21세기의 협동조합은 어떻게 전망해야 하는지 등을 살피고 있다.
협동운동의 실천가로 오랫동안 활동해온 윤형근씨. 21세기 극단적인 경쟁사회, 양극화 문제 등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협동조합운동의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협동운동의 실천가로 오랫동안 활동해온 윤형근씨. 21세기 극단적인 경쟁사회, 양극화 문제 등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협동조합운동의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협동조합이 세상에 등장하던 시절부터 최근까지 선구자들이 협동조합운동을 통해 무엇을 성취하려고 했는지, 그들의 생각과 사상, 실천 등을 추적해 보고자 했습니다.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새로운 사상을 도출해 내고 협동조합의 참다운 가치를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생각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책을 쓰게 됐지요.”

따라서 이 책은 협동조합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 학생 등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과거의 사례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200년 전 영국의 로버트 오언부터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협동운동의 내용을 인물 중심으로 촘촘하게 엮고 있는 것. 산업혁명이 가장 먼저 일어난 영국을 시작으로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북미대륙의 협동조합 선구자들을 소개하면서 21세기 새로운 협동조합의 새 장을 연 스페인 몬드라곤의 호세 마리아 신부, ‘서기 2000년의 협동조합 보고서’를 쓴 레이들로 박사, 우리나라 협동운동의 중심인 원주의 무위당 장일수 등 역사 속 발자취를 따라간다.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협동조합운동의 선구자들이 등장할 때마다 협동조합의 역사가 새로 쓰이고 그들의 사상과 실천을 통해 전개돼 온 맥락을 흥미롭게 되짚어볼 수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경우 극단적인 경쟁사회, 고령화와 양극화 등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겨나고 있지요.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대안이 협동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 협동운동의 정신과 실천을 통해 사회적 균형과 신뢰를 회복해야 합니다. 협동과 나눔, 호혜와 공생의 시스템 속에 진정한 삶의 질과 행복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협동조합의 첫 출발이 산업혁명이 초래한 ‘문명화된 야망’을 극복하는 것이었듯 21세기 양극화, 식량위기, 기후변화가 초래한 삶의 위기, 문명의 디스토피아 속에서 협동조합은 현대인들에게 희망의 가능성을 던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저자는 1980년대 중반 생활협동조합 ‘한살림모임’에서 일을 시작한 뒤 30년 가까이 협동조합 한복판에서 협동운동의 실천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끊임없이 협동조합의 사상과 정신, 뿌리를 탐색했고 이번에 그 결실의 하나로 책을 펴냈다. 1963년 전남 강진에서 태어났으며 연세대학교에 입학해 문학을 전공했다. 졸업 후 첫 직장으로 ‘생명 있는 것들의 새로운 문명을 꿈꾼 한살림모임’에서 일했다. 이후 소비자협동조합중앙회, 계간 ‘대화’ 편집장, 바람과물연구소 선임연구원 등을 거쳐 2002년부터 다시 ‘한살림’으로 돌아와 현재 ‘한살림용인성남’ 상무로 일하고 있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3-06-22 1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