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집 앨범 ‘밸런스’ 들고 돌아온

가요계의 ‘원조 섹시 디바’ 민해경(51). 올해로 데뷔 35주년을 맞는 그가 17집 앨범을 들고 팬들 곁으로 돌아왔다. ‘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 ‘보고 싶은 얼굴’, ‘그대 모습은 장미’ 등의 숱한 히트곡으로 1980~9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던 그가 마지막 앨범을 낸 것은 지난 2002년 ‘로즈’이니 11년 만이다. 지난 7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민해경은 군살 없는 몸매와 탄력 있는 피부가 먼저 눈에 들어왔다.

세월이 흘러도 변치 않는 외모와 군살 없는 몸매를 유지하고 있는 민해경. 데뷔 35주년 기념 앨범을 낸 그는 “노래를 하건 안 하건 다른 사람의 시선을 받는 연예인인 이상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고 싶지 않았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아직도 꼿꼿하신 패티김, 이미자 선배님을 존경한다. 나도 꾸준히 운동하면서 언제라도 무대에 설 수 있도록 긴장하면서 살아왔다”고 말했다.<br><br>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20년 넘게 줄곧 일만 했고 10년은 가정생활에 충실했는데 시간이 훌쩍 지나더군요. 그동안 가수로서 받은 사랑을 팬들과 함께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늘 마음 한편에 있었어요. 인간적으로 더 성숙한 지금이 앨범을 낼 적기라고 생각했죠. ”

사실 공백기가 길었다지만 민해경은 늘 노래와 함께했다. ‘7080 콘서트’도 하고 미사리 카페촌에서 노래하며 꾸준히 팬들을 만났다. 아직도 그에게는 ‘언니’라고 부르는 팬들이 있고 인터넷에 팬 카페도 있다.

규칙적인 생활과 꾸준한 운동으로 언제라도 무대에 설 수 있도록 준비해 왔다고 했다. 그는 “지난 35년간 연예인으로 살아왔고 늘 다른 사람의 시선을 받는 직업인 이상 자기 관리는 필수다. 평소에도 퍼지고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기 싫었다”고 말했다. 17세에 데뷔해 나이답지 않은 성숙한 무대매너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던 그의 승부욕과 자존심은 여전했다. 그는 1983년 LA가요제, 1990년 ABU(아시아태평양 방송연맹) 가요제 등에서 대상을 차지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실력을 인정받았다. 11년 만에 발매하는 앨범은 그래서 더욱 고민이 깊었고 녹음하는 데만 1년 반이 걸렸다.

“이제는 음악성이 있는 아티스트라는 느낌을 주고 싶었어요. 사실 제가 가진 음악 세계를 배제하기도 어렵고 완전히 다른 것을 내세우기도 어려워 고민을 참 많이 했죠. 하지만, 젊은 프로듀서를 만나 다른 음악 세계에 도전하는 과정이 너무나 즐거웠어요.”

국내 여가수 가운데 댄스와 발라드를 동시에 소화하는 가수는 많지 않다. 민해경은 이번 35주년 기념 앨범에서 화려한 음악들 때문에 가려진 보컬리스트의 면모를 선보였다. 클래식한 편곡이 편안하게 다가오는 타이틀곡 ‘다시 바람으로’를 비롯해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보컬이 돋보이는 ‘참...’ 등이 대표적이다. ‘두비둡’에서는 브라스 음악이 곁들여진 한층 풍부해진 느낌의 댄스곡을 선보였다. 자리를 함께한 프로듀서 박종근(JACOB)은 “민해경 선배의 음색은 높지만 그렇다고 여성스럽지는 않다. 타이틀곡은 클래식한 무게감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다시 바람으로’가 클래식하게 편곡된 것을 듣고 정말 감동적이었어요. 예전에 제가 부른 발라드와 색깔이 달라 좋았죠. 요새 댄스 음악에 일렉트로닉이 많은데 8090년대 그룹사운드 스타일의 빠른 음악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번 앨범을 통해서 뼛속까지 ‘진짜 가수‘라는 말을 들었으면 좋겠어요.”

민해경은 이번 앨범에 두 곡의 리메이크곡을 수록했다. 편곡과 모든 악기 녹음을 1982년 그대로 녹음한 ‘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와 2013년의 최신 댄스곡으로 편곡한 ‘사랑은 이제 그만’이다. 자신의 발라드와 댄스 대표곡을 실은 그는 “앞으로 발매될 앨범에도 계속 리메이크 한 곡들을 넣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세시봉’, ‘나는 가수다’ 등을 통해 1970~90년대 가수들이 많이 부각된데 대한 소회는 어떨까.

“우리 때 가수나 선배님들이 주목 받는 것을 보니까 내가 자랑스럽더군요. 저도 에코도 없는 마이크를 들고 모니터도 없이 매일 라이브로 불렀는데 그렇게 단련된 덕분에 지금도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것 같아요. 만일 제가 립싱크를 했었다면 과연 지금 이 나이에 앨범을 낼 수 있는지 의문이네요.”

그는 이번 앨범 제목을 ‘밸런스’(균형)로 지은 것은 8090 음악에 대한 향수와 현재 음악과의 균형, 일과 가정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해경은 요즘 가수 데뷔 연령이 낮아지지만 롱런하는 여가수가 나오지 않는 가요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제 경험을 보면 너무 어린 나이에 연예계에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요. 학창 시절이 없다는 것은 개인에게 슬프고 안쓰러운 일이거든요 30대가 지나야 원숙미도 나오고 제대로 노래를 할 수 있는데 오히려 그 나이에 노래를 못하게 된다는 것은 큰 문제죠. 앞으로 후배들도 키우고 함께 작업도 하면서 도움이 되는 선배가 되고 싶어요.”

후배 여가수 중에 눈여겨 보는 가수는 걸그룹 투애니원(2NE1). 자유분방하고 개성 있어 보여서다. 지난 35년 동안 여가수로 살면서 영광도 많았고, 어려운 순간도 많았다. 그는 “해외 가요제에 나가 1등한 순간을 잊을 수 없다. 하지만, 마음대로 술 한 잔 마실 수 없을 정도로 사생활이 제한돼 힘든 점도 많았다”면서 “그래도 다시 태어나도 가수라는 직업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996년 5세 연하의 남편과 결혼해 딸 하나를 둔 민해경은 가족은 언제나 든든한 버팀목이다.

“남편 덕분에 모났던 제 성격이 많이 둥글둥글해졌어요. 남편은 즐겨야 좋은 성과가 나온다면서 스트레스를 받지 말고 즐기라는 조언을 해 줍니다.” 민해경은 35주년 기념 앨범을 시작으로 올해 10여 년 만에 단독 콘서트를 연다.

“무대에 서면 설수록 어렵고 노래를 부를수록 더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깁니다. 제가 가수를 천직으로 삼고 계속 노래할 수 있어서 감사해요. 요즘 10년 만에 단독 콘서트 무대에 서기 위해 꾸준히 춤 연습을 합니다. 마지막에 ‘사랑은 이제 그만’에 맞춰 말춤을 추는 모습은 생각만 해도 즐겁지 않나요?”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