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모이자 권력자…조선의 왕비 재조명

국모이자 권력자…조선의 왕비 재조명

입력 2012-10-06 00:00
업데이트 2012-10-06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심재우 교수 등 지음/돌베개 펴냄

“한국 전통 시대에 여성, 특히 부인의 존재는 철저히 남편의 그늘에 가려진 존재였지만 왕조 국가인 조선에서 왕의 부인인 왕비는 절대 권력의 중심부에 있었다. 조선의 왕비는 단순한 여성이 아니었다. 조선의 왕실을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정치 역학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왕비의 역할과 존재에 대한 본격적이고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심재우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는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돌베개 펴냄)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한다.

조선의 왕비라고 하면 중종의 계비로 아들 명종을 휘두른 문정왕후, 희빈 장씨와 경쟁 관계를 구축했던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 한말 일본 낭인의 손에 시해된 명성황후를 먼저 떠올린다. 이들의 삶이 흥미로워 사극으로 많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 왕비가 갖는 상징성, 역사적 의미는 이보다 훨씬 더 심오하고 복잡하다.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는 국모(國母)이자 궁궐의 안주인, 왕위를 이을 후계자 생산이라는 막중한 책임을 진 조선 왕비의 삶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왕비의 첫걸음인 ‘간택’부터 살펴보자. 왕의 배필을 구한다는 공고를 전국에 뿌리면 금혼령이 내려지고 전국 15~20세 양반가 처녀들은 일종의 이력서인 단자를 제출한다. 보통 사극에서는 자신의 딸을 왕비로 키우기 위해 별별 수를 쓰는 모습이 많이 드러나지만 실제로는 왕을 사위로 두기 부담스러워했다. 딸을 숨기다 발각된 전·현직 관료에 대해서는 추문하고 윽박지르고 온갖 닦달을 다 하지만 접수된 단자는 많아야 25장 안팎이었다. 단자를 낸 처녀들은 초간택, 재간택, 삼간택 등의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세자빈으로 책봉된다.

수렴청정으로 권력을 휘두른 왕비도 있다. 세조의 비 정희왕후는 아들 예종이 19살에 즉위하자 수렴청정을 시작했다. 예종이 즉위 13개월 만에 죽자 13살 잘산군을 임금(성종)으로 추대해 7년간 섭정했다. 성종의 정책은 도승지가 정리해 정희왕후에게 올려 결재를 받은 뒤에야 시행됐다. 12살 때 즉위한 명종을 대신해 수렴청정을 시작한 중종의 비 문정황후는 명종이 친정을 선포한 뒤에도 정사에 관여해 무려 20년간 권력자로 남았다.

책은 간택과 서거 또는 폐위 사이에서 왕비가 겪는 출산, 일상생활, 등 구중궁궐의 이야기를 세세하고 흥미롭게 펼쳤다. 집필에는 심 교수를 비롯해 임민혁, 이순구, 한형주, 박용만, 이왕무, 신명호 등 역사·인문학자가 두루 참여했다. 2만 5000원.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10-06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