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 죽으면 화장하라’… 장례문화 바뀌었다

‘나 죽으면 화장하라’… 장례문화 바뀌었다

입력 2011-09-10 00:00
업데이트 2011-09-10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망자 10명중 7명 선택… 대도시일수록 선호

화장(火葬)이 매장(埋葬)을 대신한 주요 장례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사망자 10명 가운데 7명이 화장을 선택할 정도다. 화장을 선호하는 이유는 깨끗하고 관리가 쉽기 때문인 측면이 강하지만 핵가족에 따른 세대 간 결속력이 약화된 탓도 크다. 또 묘지로 잠식되는 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앞장서 화장문화를 권장한 것도 한몫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외국인을 뺀 사망자 25만 5403명 가운데 17만 2276명이 화장으로 장례가 치러져 전국 화장률이 67.5%를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10년 전인 2000년에는 매장률이 66.3%를 차지했다. 10년 만에 문화가 바뀐 것이다.

화장에 대해서는 ‘깨끗하고 위생적이어서’(35.1%), ‘간편해서’(27.0%), ‘관리가 쉬워서’(25.0%) 등을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저출산 고령화와 핵가족화 등으로 가족 간의 결속력이 약해져 묘를 짓는 매장을 꺼리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대도시일수록 화장률이 높았다. 부산의 화장률은 83.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천(81.1%), 울산(77.7%) 서울(75.9%)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제주(48.3%), 충남(48.4%), 전남(48.4%)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 부산 등 7개 특별·광역시의 화장률은 75.5%였지만 나머지 시·도는 61.8%로 13.7% 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수도권 화장률은 75.5%에 이르렀지만 비수도권은 62.1%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화장률이 70.6%로 여성의 63.1%에 비해 높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화장을 원했다. 복지부는 이에 대해 “대도시일수록 묘지공간이 부족해 화장을 희망하는 반면 비도시일수록 화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매장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복지부는 사회 환경의 변화로 향후 화장률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화장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지자체 간 화장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도 완화하기로 했다.

또 자연친화적이고 비용 부담이 적은 수목장을 비롯해 수장(水葬)·풍장(風葬) 등 자연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연장지에 대한 규제도 낮출 방침이다. 현재 전국의 화장시설은 51곳(화장로 277기)이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1-09-10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