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5·18민주화운동 30주년] 김성수씨의 끝나지 않은 상흔

[5·18민주화운동 30주년] 김성수씨의 끝나지 않은 상흔

입력 2010-05-17 00:00
업데이트 2010-05-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향 가다 계엄군 총탄세례… 아내 잃고 딸은 휠체어신세”

“딸 아이를 생각할 때마다 가슴이 저며옵니다.”

1980년 5월 아내·딸과 함께 총탄세례를 받았던 김성수(77)씨는 지금도 한많은 세월의 복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1980년 5월22일 오전 10시. 김씨는 자신의 4.5t 화물차를 몰고 광주교도소 앞을 지나다가 계엄군의 집중 사격을 받았다. 조수석에는 아내(당시 43세·1985년 사망)와 막내 딸(당시 5세)이 타고 있었다. ‘난리’를 피해 고향(전남 진도)으로 가려다가 길이 막혀 되돌아오던 순간이었다. 수십발의 총소리와 함께 트럭 뒤쪽 유리창이 깨졌다. 등짝이 불에 덴 듯 후끈함이 느껴졌다. 본능적으로 옆자리로 눈을 돌렸다. 아내와 딸은 피를 흘린 채 고꾸라져 있었다.

“처자식을 살려야겠다는 생각밖에 안 났다.”는 그는 아픔도 잊은 채 차를 시내 쪽으로 몰았다.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에 겨우 이른 뒤 정신을 잃었다. 깨어나 보니 전남대병원 응급실이었다. 등에 박힌 총탄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는 설명을 들었다. 아내는 머리에, 딸은 척추 관통상을 입었다. 아내는 3차례 뇌수술을 받고도 회복되지 않고 두통에 시달리다가 정신분열 증세까지 보였다. 결국 1985년 12월 딸의 병상을 지키다가 숨졌다. 딸은 더 큰 충격에 빠졌다.

김씨는 궂은 일을 마다하지 않고 9남매 자식을 키웠다. 시간을 쪼개 ‘보상법 제정 투쟁’ 시위에도 참여했다. 딸은 광주에서 한 독지가의 도움으로 특수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 언니집에서 살고 있지만 평생 휠체어 신세를 져야 한다.

김씨는 “가해자에 대한 미움도, 원망도 사라졌다. 하지만 고통으로 성장이 멈춰버린 딸은 어찌해야 하냐.”며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딸의 2번 척추에 총탄이 박혀 있지만 이미 마비된 하반신의 신경을 되살릴 수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차라리 내가 대신 그랬으면 좋겠다.”며 입을 깨물었다. 5월의 ‘악몽’은 이렇게 계속되고 있다.

김씨처럼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환자가 수십명에 이른다. 알코올 중독과 가족 해체 등의 아픔에 시달리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이들 중에는 실제로 거리를 떠도는 노숙자가 되기도 했다. 허연식 ‘5·18유공자단체통합추진위’ 기획위원은 “세월은 흘렀지만 아픔은 끝나지 않았다.”며 “이들의 고통이 2세에게 이어진다는 게 더 큰 문제다.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5-17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