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세상에 큰 사랑 남긴 김수환 추기경

[사설] 세상에 큰 사랑 남긴 김수환 추기경

입력 2009-02-21 00:00
업데이트 2009-02-21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상에 큰 사랑의 빛을 던진 김수환 추기경이 우리의 곁을 영원히 떠났다. 갈등과 분열의 시대에 ‘김수환 추기경 현상’은 기적이라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나흘간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을 찾은 행렬은 평화로웠지만 뜨거웠다. 조문객 40만명이 성당 안 빈소에 들어가기까지 2∼3㎞ 줄을 서서 서너 시간씩 기다려야 했지만, 불평을 하거나 실랑이를 하는 사람이 없었다. 장례미사가 진행된 어제도 1만여명이 몰렸다. 그들은 김 추기경의 관이 성당을 빠져나오자 “추기경님 사랑합니다.”라고 외치며 하염없이 눈물을 쏟았다. 노소, 빈부, 종교, 이념을 초월한 ‘국민장’의 모습이었다.

“서로 사랑하십시오.” 온 국민의 사랑을 받은 김 추기경이 마지막으로 남긴 말이 큰 울림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선종 2∼3일 전부터 병실을 찾아온 이들에게 되뇐 말이다. 김 추기경은 1969년 한국 최초이자 최연소 추기경으로 서임된 뒤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를 좌우명으로 삼았다. 예수가 최후의 만찬을 주재하면서 제자들뿐 아니라 인류 전체를 구속(救贖)하기 위해 당신의 몸과 피를 사랑의 제물로 내놓으며 하신 말씀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스도 사상에 기초해 김 추기경이 가장 관심을 가졌던 주제는 ‘인간’이었다. 그 신념은 엄혹했던 1970, 1980년대의 군부통치 시대를 헤쳐 나오면서 절대적인 판단기준으로 작용했다. 1974년 지학순 주교가 민청학련 사건으로 체포돼 박정희 대통령을 만났을 때에도 “인간의 존엄성은 국가권력도 침범할 수 없다.”며 기독교 복음정신에 입각한 인간관을 피력했다.

김 추기경은 그 중에서도 생활고와 병고에 시달리거나 불의에 희생된 사람, 노동자와 농민, 죄수 등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을 더 사랑했다. 서울대교구장에서 물러난 뒤에는 좀 더 몸을 낮추고 가난한 사람들의 눈물을 닦아 주지 못한 점이 후회스럽다고 했다. 사랑이란 말을 입에 달고 살면서도 진정한 사랑을 실천하지 못했다고 겸손해했다. 그런 큰 어른이시면서도 소박하고 꾸밈없는 인간적인 면모가 마음에 와닿는 분이었다. 청중들과 어울려 스스럼없이 ‘애모’, ‘만남’, ‘사랑으로’ 등 대중가요도 즐겨 부르는 친근한 ‘아버지’나 ‘할아버지’ 같은 분이었다. 얼마 전엔 ‘바보야’란 자화상이 공개돼 화제가 됐다. 남을 사랑하기 위해선 바보가 되고, ‘밥’이 되어야 한다는 넉넉한 다짐이었다.

김 추기경이 있었기에 우리는 덜 외로웠고 행복할 수 있었다. 우리는 고인이 보여준 사랑과 나눔, 통합과 화해의 정신을 살려나가야 한다. 김 추기경의 안구 기증은 이미 불씨가 돼 신체의 일부를 내놓기로 약속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고인이 촛불처럼 자신을 태워 우리 가슴에 뿌린 고귀한 선물인 사랑의 씨앗을 키우고 널리 퍼져 나가게 해야 한다. 정치권은 ‘김 추기경 현상’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되새겨야 한다. 고인의 가르침은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는 새 시대정신으로 승화되어야 한다.

2009-02-21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