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25)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25)

허동찬 기자
입력 1993-01-05 00:00
업데이트 1993-01-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상화 제1호 「광복의 천리길」/“14살때 독립안되면 안올 결심… 도강”/45년 수행기자 한재덕이 기사로 “창작”/「압록강의 노래」도 그이후에 만들어

북한에서는 김일성이 1925년 1월22일에 만경대를 떠나 만주로 갔다고 하고 있다.졸업식을 몇달 앞두고 창덕학교를 중퇴했다는 것이다.

○김형직 테러사망

이런 엄동설한에 떠난 것을 김일성은 일제에 체포되었다는 부친의 소식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그러나 필자가 이전에 지적한 바와 같이 만주 팔도구의 대안인 포평에서 김형직이 탈주했다든가,그 과정에서 그가 심한 동상을 입었다든가 하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김형직은 26년 6월에 갑자기 테러를 당해 죽었는데 그 때까지는 건강하였다.따라서 김일성이 일부러 가장 추운 1월 하순에 가야할 이유란 믿기가 어려워진다.

또 25년 당시 부친이 건강했더라면 김일성이 혼자서 만주로 갔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의심이 나지 않을 수 없다.실제로 1960년까지의 북한기록은 52년 전기의 기술대로 김형직이 그를 「데리고」만주로 간 것으로 되어 있다.그가 단독으로 간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하여간 만경대를 떠나 13일째 되는 날 포평에 도착한 김일성은 여기서 부모가 있는 팔도구를 향하여 압록강을 건너가게 된다.

그런데 이 김일성의 도강에 관하여서는 종래의 전기들이 판에 박은 듯이 사용하여 온 문장이 있다.그것은 아래와 같은 것이다.

『나는 14살 때에 조선이 독립하지 않으면 다시 돌아오지 않으리라 굳게 결심하고 압록강을 건넜습니다.그 때 나는 그 누군가가 지은 「압록강의 노래」를 부르면서 내가 언제 다시 이 땅을 밟을 수 있을까,내가 자라나고 선조의 무덤이 있는 이 땅에 다시 돌아올 날은 과연 언제인가,이렇게 생각하니 어린 가슴에도 슬픔을 금할 수 없었습니다』<주1>

이 명문장은 이번 「세기와 더불어」에서 「압록강의 노래」가사까지 덧붙여졌다.그러나 그 표현은 종래와 다름이 없으므로 이 비장감이 넘치는 문장은 김일성이 실지로 그렇게 생각한 것으로도 오해할 수가 있다.그러나 이 문장은 25년의 도강 당시에 김일성이 한 생각은 아니다.이것은사실은 해방직후 작가가 만들어 낸 우상화를 위한 창작물인 것이다.

1945년 10월 한재덕씨는 김일성을 수행하여 만경대를 방문하였는데 그 2∼3일후 한씨는 평양에서 열린 「김일성장군과 그 가족환영 및 위안회」에 초대되었다.신문기자였던 한씨는 거기서 김일성이 하는 연설을 받아 썼다.그러나 한씨는 김일성의 서툴고 갈팔질팡하는 연설을 듣고서는 연필을 집어치우고 술만 마시게 되었다.한씨는 이튿날 연회의 기사를 써야했는데 이 때 무리를 알면서도 이상과 같은 명문장을 만들어 신문에 실었다는 것이다.<주2> 한재덕씨는 「평양민보」창간호에 김일성이 개선한 「군중환영대회」기사를 썼고 또 거기서 소좌에 지나지 않았던 김일성을 「장군」이라고 불러주어 일약 그의 마음에 들게 되었다.그러나 한씨는 우여곡절 끝에 1959년에 한국에 귀순하였다.

○한 기자 한국귀순

한씨는 또 이 기사를 쓴 당시는 「압록강의 노래」가 없었는데 그 후에 이러한 노래도 만들어지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압록강상에서 비분강개하는 김일성,이 영웅적 장면은 역사적사실이 아니라 한재덕씨가 써 준 미사여구였다.그리고 「광복의 천리길」이란 부친을 따라 갔건 혼자 갔건 간에 그의 이 심정토로 부분을 빼버리면 사람들을 울리는 장면이 없는 한갓 평범한 이민의 이동로정에 불과하게 된다.

지금 북한에서는 매년 1월 전국에서 청소년이 선발되어 이 「광복의 천리길」을 행진하고 있다.김일성 우상화작품 제1호인 한재덕씨의 이 문장은 지금도 북한 청소년이 집단주의를 익히는 세뇌용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광복의 천리길」의 종점은 만주 팔도구에 있는 부모의 집이다.북한에서는 그가 여기에 25년2월3일에 도착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는 앞에서 그가 1월 하순에 창덕학교를 그만둘 이유는 없다고 말하였다.또 필자는 이 만주행은 창덕학교가 졸업생을 내는 3월 하순이라고 추정한 바도 있었다.<주3>그러나 졸업식에 참가하지 않은 것 같으면 2월말이나 3월중에 갔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그러므로 김일성은 전기에서 만주행을 적어도 1개월이상 앞당기고 있다.그리하여 이러한 날짜조작으로 비운 자리를 그는 이른바 「혁명활동」으로 메우게 되는 것이다.「세기와 더불어」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한달이상 앞당겨

『팔도구의 집에서 나를 맞이한 모친은 저녁밥을 차려주고는 여기는 놈들의 감시가 심하니 동생들을 데리고 곧 떠나라고 하였다.그래서 우리는 발구를 타고 팔도구를 떠나 눈보라가 이는 압록강가로 오구비라는 조선쪽에 가서 거기서 하룻밤을 지내고 다음날 임강으로 갔다.우리는 거기에서 한달 가까이 객주집에서 숨어 살았다.모친이 삼촌 김형권과 임강으로 온 후 부친의 전화를 받고 비로소 우리는 무송으로 가게 되었다』<주4>

전기에서는 김일성 가족의 이러한 무송행은 1925년3월로 되어 있다.

<주해> ①김일성저작집1 361면 ②「김일성을 고발한다」 1965년 내외문화사 간 96면 ③평전 61면
1993-01-05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