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측면수비 불안, 공격결정력 부재”지적

전문가들 “측면수비 불안, 공격결정력 부재”지적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07: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들은 2014 브라질 월드컵 조별리그 H조 2차전에서 알제리에 완패한 한국 축구 대표팀의 공수 전반에 걸쳐 큰 아쉬움을 나타냈다.

신문선 명지대 교수는 23일(한국시간) 한국이 알제리에 2-4로 패한 경기를 지켜보고서 “자신감이 결여됐고 좌우 풀백에서 완전히 밀렸다”고 평가했다.

하석주 프로축구 전남 드래곤즈 감독도 “양 측면이 상대한테 밀렸고 네 번째 실점은 절대 주지 말았어야 했다”고 했고, 김대길 KBS N 해설위원은 “알제리의 측면 라인업 변화에 대한 대처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알제리의 기술 좋고 빠른 측면 공격 자원에 한국 풀백들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받아치지도 못했다고 분석했다.

신 교수는 “측면 수비수들이 상대에게 기술적으로 완전히 눌린 것이 경기 흐름을 뺏긴 원인”이라며 “공수 전환 속도에서도 전반에는 알제리에게 밀렸다”고 말했다.

측면 수비가 불안하다 보니 중앙 수비 역시 안정을 찾지 못했고, 미드필드나 공격에서도 한국의 패턴을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가나전에서 네 골을 내줄 때 드러난 수비 문제점이 그대로 노출됐다”며 “키는 작지만 상당히 기술 있고 폭발적인 알제리 좌우 윙어를 우리 풀백이 따라잡지 못했다”고 봤다.

전반전에 보여준 소극적인 플레이와 수비 불안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김 위원은 “너무나도 소극적인 경기 운영이 화를 자초했다”며 “여기에 일부 실수까지 더해지다 보니 후반에 페이스를 찾기는 했지만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이 왔다”고 총평했다.

신 교수 역시 “전반 초반에 자신감이 없었고 집중력마저 떨어지니 수비에서 세 골을 내줬다”며 “초반에 발이 완전히 얼어붙어 있었고 경기 흐름을 그대로 뺏겼다”고 말했다.

하 감독은 “상대가 1패를 안은 팀이라 초반부터 굉장히 강하게 압박하면서 나오니까 한국은 우왕좌왕하고 한 번에 걷어내는 식으로 급하게 했다”며 “그 와중에 첫 골을 먹고 두 번째, 세 번째까지 이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첫 번째와 세 번째 실점 장면을 보면 수비수가 빨리 위치를 잡고 공이 오는 상황을 예측해야 하는데 공격수와 같이 움직이기 시작했다”면서 “상대 공격수들이 잘하기도 했지만 우리 수비진은 그런 상황에서 한 명은 대인마크, 한 명은 공간 커버를 들어가야 하는데 두 명이 나란히 갔다”고 아쉬워했다.

전반 슈팅 횟수 ‘0’을 기록한 극악의 공격력도 도마 위에 올랐다.

신 교수는 “박주영의 교체 타이밍이 아쉽다”면서 “전반에 세 골을 잃었을 때 한국이 선택할 수 있는 전술 변화를 따져보면 후반 시작과 함께 김신욱을 일찍 넣는 것이 좋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는 “지동원이나 이근호도 더 빨리 투입해서 경기 흐름을 바꾸는 게 좋았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은 “전반에 나갔던 박주영이 더 날카로운 모습을 보여줬어야 했다”며 “전방 공격수들이 결정짓고 내려오지 못하니까 수비 부담도 가중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의 16강 전망에 대해 “어려워졌다”고 하면서 벨기에전 필승을 주문했다.

신 교수는 “오늘같이 경기하면 (16강은) 어렵다”고 단언했다.

하 감독은 “벨기에를 최소한 2-0 정도로 이기고 다른 경기를 지켜봐야 한다”며 “상황이 안 좋다. 최악이다”고 봤다.

김 위원 역시 “확률적으로 쉽지 않다. 자력으로 하긴 어렵다”면서도 “그래도 벨기에가 16강을 확정한 상황이라 그나마 실낱같은 희망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