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축구 문제 과연 수비가 약해서일까

한국축구 문제 과연 수비가 약해서일까

입력 2010-07-01 00:00
업데이트 2010-07-01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들 한마디씩 한다. “한국 축구는 수비가 약하다.”고. 이제 그게 대세가 돼 버렸다. 해외언론이 “한국에 해외파 수비수가 없었다는 점이 아쉬웠다.”고 한 보도도 주요 논거가 됐다. 실제 이번 남아공월드컵에서 한국 수비진이 흔들리긴 했다. 창조적 패스 한 방에 무너지고 공수전환도 느렸다. “공격은 괜찮은데 상대적으로 수비가 문제”라는 얘기가 공공연해졌다. 모든 혹평을 다 뒤집어쓰고 있다. 과연 그런가. 한국 축구의 문제는 단순히 수비진의 문제인가.



●모자라는 개인기 결론부터 말해 보자. 문제는 개인기다. 수비 선수들의 개인기가 아니라 공격·수비 포함한 전체 선수들의 개인기다. 아직 한국 선수들과 세계 정상급 선수들 사이엔 분명하고도 넘지 못할 기량 차이가 있다. 그건 현실이다. 수비 선수가 1대1로 상대 공격수를 만나면 뚫릴 수밖에 없다. 10번 막아도 1번 뚫리면 책임을 져야 하는 게 수비수다. 정상급 선수들을 만나면 뚫릴 확률이 올라간다. 당연히 수비불안 얘기가 나온다.

헐거운 협력수비 그래서 협력수비로 풀어야 한다. 1대1로는 어차피 못 막는다. 협력수비는 최전방 공격수부터 미드필더, 최후방 수비수까지 함께 펼치는 작업이다. 전방 공격수와 후방 수비수 간격을 최대한 좁혀야 한다. 그래야 가까운 거리에서 함께 상대 공격수를 포위할 수 있다. 즉 수비수만의 작업이 아니다. 공격수-미드필더-수비수가 유기적으로 함께 움직여야 한다. “수비수 역량이 떨어져서 수비가 불안하다.”는 건 난센스다. 책임 소재가 분명치 않다. 공격진의 협력이 부족했을 수도, 수비진이 공격진 가까이 라인을 끌어올리지 못했을 수도 있다. 책임은 반반일 가능성이 높다.

부족한 공간확보 수비진이 공을 뺏은 뒤 역습 패스가 느리다는 점은 여러 차례 지적됐다. 수비 진영에서 머뭇머뭇하는 모습도 나왔다. 그러나 수비수의 역량 문제라고 치부하기엔 억울하다. 공간이 나와야 전진패스도 찔러 넣을 수 있다.

예전보다 많이 좋아졌지만 공격진과 수비진의 간격은 여전히 일정하지 않다. 최전방-미드필더-최후방이 각각 분리되는 모습을 자주 연출한다. 공격수들과 거리가 멀어지면 정확한 역습패스를 하기가 힘들다. 공격수들이 공간을 만들어 내지 못하면 수비는 줄 곳이 없어진다. 그저 앞으로 멀리 차낼 수밖에 없다. 수비 책임이라고 말하기엔 곤란하다. 스트라이커와 미드필더가 더 빨리 더 정확하게 움직여 줘야 한다.

●준수한 수비능력 이번 대회 최고 ‘수비의 팀’ 일본과 비교해 보자. 중앙 수비수 이정수-조용형의 체격과 개인능력은 일본 나카자와-툴리오 조합보다 떨어지지 않는다. 제공권에서 다소 밀리지만 터프한 대인방어와 안정성은 오히려 한 수 위다. 아시아 정상급 수비수 곽태휘를 ‘경우의 수’에 넣으면 한국 쪽이 훨씬 낫다. 그런데 왜 일본은 수비가 강점이고 우린 아닐까.

결국 수비수의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현대축구는 이미 공격·수비의 이분법적 구분이 없어진 지 오래다. 공격과 수비는 중원에서 한 덩어리로 이뤄진다. 전체가 유기적으로 모였다 흩어졌다를 반복한다. 홍명보 올림픽대표팀 감독은 “현대 축구에선 스트라이커부터 최후방까지 모두 수비이자 공격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정상급 수비진과 우리 수비의 움직임 차이는 한국 축구 전체의 문제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7-01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