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의 북한축구 ‘절반의 성공’

김정훈의 북한축구 ‘절반의 성공’

입력 2010-06-22 00:00
업데이트 2010-06-22 0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4년 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로 1차 특명을 완수한 김정훈 북한 축구 대표팀 감독이 세계의 벽에 막히면서 2단계는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김 감독이 되풀이해서 말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본선의 목표는 16강 진출이었지만 1,2차전을 모두 패하면서 3차전 결과와 관계없이 목표는 허무하게 좌절됐다.

 그가 이끄는 북한은 21일(이하 한국시간) 벌어진 포르투갈과 경기에서 무려 0-7로 지는 수모를 당하기는 했지만 잠재력이 있다는 모습은 확인시켰다.

 세계최강 브라질과 16강전에서 밀리지 않는 경기력을 보였고 이날 경기에서도 선제골을 얻어맞고 젊은 선수들이 마구 흔들리기 전까지는 안정된 수비와 역습을 효율적으로 구사했다.

 강호들과 겨룰 수 있는 저력이 있다는 점은 세계 무대에 알려준 셈이다.

 현재 북한 대표팀에는 문인국(32)과 안영학(32)을 제외하면 20대 초중반 선수들이 즐비해 이들은 다시 한번 월드컵에 도전할 기회가 있다.

 월드컵은 ‘최고의 무대’이기 때문에 처음으로 나오는 팀들은 한 골도 못넣고 참패를 당하기 일쑤다.북한도 1966년에 한 차례 출전한 적은 있었지만 44년만에 나온 이번 대회는 사실상 첫 출전이나 다름 없었다.

 그런 면에서 북한 대표팀은 이번 월드컵 결과를 한단계 도약을 위한 값진 경험으로 삼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정훈 감독은 지난 2007년 북한 대표팀을 맡아 이들 젊은 선수를 조직력에 흡수해 월드컵까지 끌고 오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17세 이하나 20세 이하,23세 이하 대표팀을 거친 선수들을 대거 수혈해 성공적으로 세대교체를 이뤄냈다.

 게다가 정대세(가와사키)와 안영학(오미야),홍영조(로스토프) 등 해외파까지도 흡수해 국내 선수들과 잘 어울리는 전력의 핵심으로 녹여냈다.

 북한은 이번 대회에서 잠재력을 보이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를 승리로 발현하지 못했는데,북한 선수들의 개인 기량이나 심리적 안정성이 정상급 선수들보다 처지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김 감독이 오는 25일 벌어지는 아프리카의 강호 코트디부아르와 조별리그 3차전에서 자존심을 회복하고 다음 월드컵을 위한 잠재력을 다시 확인시켜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