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올림픽 정조준’ 김수현, 체급 바꿔 금메달 싹쓸이…북한도 역도 강국 입증

‘파리올림픽 정조준’ 김수현, 체급 바꿔 금메달 싹쓸이…북한도 역도 강국 입증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4-02-09 11:38
업데이트 2024-02-09 1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수현이 지난해 10월 5일 중국 항저우 샤오산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여자 역도 76㎏급 경기에서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수현이 지난해 10월 5일 중국 항저우 샤오산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여자 역도 76㎏급 경기에서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수현(29·부산시체육회)이 2024 아시아역도선수권에서 금메달을 싹쓸이했다.국제대회에서 처음 출전한 여자 81㎏급에서 이뤄낸 값진 성과다.

김수현은 8일(현지 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대회 여자 81㎏급 경기에서 인상 110㎏, 용상 144㎏, 합계 254㎏을 들어 3개 부문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합계 기록만으로 메달을 수여하는 올림픽, 아시안게임과 달리 아시아역도선수권은 3개 부문 모두 시상한다.

김수현은 인상 3차 시기, 용상 3차 시기까지 단 한 번의 실패도 없는 안정적인 경기력으로 금메달 3개를 휩쓸었다. 김수현이 81㎏급으로 국제대회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아시아역도선수권과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선 76㎏급으로 출전해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

체급을 바꾼 이유는 올림픽 출전을 위해서다. 항저우아시안게임 여자부는 7개 체급(49㎏급, 55㎏급, 59㎏급, 64㎏급, 76㎏급, 87㎏급, 87㎏ 이상급)으로 편성됐지만, 파리 올림픽은 여자부가 5개 체급(49㎏급, 59㎏급, 71㎏급, 81㎏급, 81㎏ 이상급)으로 줄어들어 김수현의 76㎏급이 제외됐다.

이날 아시아선수권에서 우승하면서 김수현은 파리 올림픽 예선 순위를 11위에서 공동 6위로 끌어 올렸다. 파리 올림픽에는 체급당 12명이 출전한다. 김수현은 경기를 마치고 “81㎏급에 익숙해졌다. 파리 올림픽을 향해 순항하고 있다”며 “순탄하게 준비하고 있고 아픈 곳도 없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수현이 8일(현지 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2024 아시아역도선수권 여자 81㎏급 시상식에서 금메달에 입을 맞추고 있다. 대한역도연맹 제공
김수현이 8일(현지 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2024 아시아역도선수권 여자 81㎏급 시상식에서 금메달에 입을 맞추고 있다. 대한역도연맹 제공
함께 출전한 김이슬(23·인천시청)은 인상 105㎏, 용상 133㎏, 합계 238㎏으로 동메달 2개를 품에 안았다. 인상은 4위에 그쳤지만, 용상 3위에 오르며 합계 순위도 3위로 경기를 마쳤다. 2위는 합계 243㎏(인상 107㎏·용상 136㎏)을 든 리지나 아다시바에프(22·우즈베키스탄)였다.

여자 76㎏급에서는 정춘희(25·북한)가 인상 111㎏, 용상 125㎏, 합계 236㎏로 우승했다. 대회에 출전한 북한 선수 11명은 모두 체급 1위에 올라 역도 강국임을 입증했다.

김수현은 지난해 10월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1위·2위에 오른 북한 송국향, 정춘희를 향해 “북한 선수 중에 림정심 언니를 좋아했는데 더 잘하는 두 선수와 같이 경기하게 됐다. 저도 이 친구들만큼 더 잘해야겠다고 다짐했다”면서 “이렇게 시상대에 같이 올라가서 웃으며 마무리하기 위해 똑 부러지게 열심히 하겠다”고 소감을 밝힌 바 있다.
서진솔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