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월드컵] 16강 희망있다…스페인전에 승부건다

[여자월드컵] 16강 희망있다…스페인전에 승부건다

입력 2015-06-14 10:35
업데이트 2015-06-14 1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페인과 비기면 100% 탈락, 무조건 승리해야 16강 희망

한국 여자축구 대표팀이 2015 국제축구연맹(FIFA) 여자월드컵 E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코스타리카와 아쉽게 무승부를 기록함으로써 16강 진출이 쉽지만은 않게 됐다.

14일 오전(한국시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5 캐나다 여자 월드컵 조별리그 한국과 코스타리카의 경기.  경기 종료를 앞두고 코스타리카에 동점골을 허용한 한국 대표팀 지소연 등 선수들이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오전(한국시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5 캐나다 여자 월드컵 조별리그 한국과 코스타리카의 경기.
경기 종료를 앞두고 코스타리카에 동점골을 허용한 한국 대표팀 지소연 등 선수들이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표팀은 후반 44분 통한의 동점골을 내주면서 그나마 월드컵 본선 진출 이후 처음 승점을 확보했다는데 만족해야 했다.

이번 승점은 2003년 처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이후 12년 만에 오른 이번 대회를 포함해 본선 5경기 만에 얻어낸 승점이다.

대표팀은 2003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 1차전에서 브라질에 0-3으로 패했고, 2차전은 프랑스에 0-1로 졌다. 노르웨이와의 3차전에서는 본선 첫 골을 뽑아내기는 했지만, 7골을 내주며 1-7로 대패했다.

3전 전패의 수모를 당한 대표팀은 3경기에서 11골을 얻어맞고 1골을 넣으면서 세계무대의 높은 벽을 제대로 실감해야 했다.

이번 대회에서도 1차전에서 브라질에 0-2로 패하며, 코스타리카전까지 본선 4패의 전적만을 기록한 뒤 마침내 무승부로 승점 1을 거뒀다.

그러나 이번 대회 목표가 첫 승점이 아닌 16강 이상이었던 것만큼 자력 진출을 위해서는 조 2위 이상을 해야 한다.

대표팀은 이날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16강 진출이 좌절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E조의 순위는 안갯속이기 때문이다.

브라질이 이미 2승을 올리며 조 1위와 함께 16강 진출을 확정지은 것을 제외하면 2위 자리를 놓고 한국과 스페인, 코스타리카가 박빙의 상황이다.

한국이 1무1패로 최하위가 됐지만, 3위인 스페인 역시 1무1패이고, 2위인 코스타리카는 2무로 승점차는 1에 불과하다.

특히, 코스타리카는 강호 브라질과의 마지막 경기를 남겨두고 있어 승리를 하기가 쉽지 않다고 보면 희망은 더욱 커진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마지막 스페인과의 경기를 이기게 되면 2위를 차지해 자력으로 16강 진출도 노릴 수 있게 된다.

설사 코스타리카가 브라질에 이겨서 조 2위가 된다고 해도 우리나라가 스페인에 승리를 하게 되면 승점 4가 돼 와일드카드로 16강에 오를 수 있는 기회도 있다.

그러나 무승부가 되면 16강 진출에 실패한다.

코스타리카가 브라질에 패하고, 한국이 스페인과 비기면 세 팀이 모두 승점 2가 되지만 스페인(골득실 -1)이 한국(-2)보다 골득실에서 앞서 있기 때문이다.

승점 2로 조 3위가 된다고 해도 16강은 불가능하다.

6개조 가운데 3위 팀 중 4개 팀이 와일드카드로 16강에 올라갈 수 있는데, 이미 A·B·C·F조의 3위가 승점 3이기 때문이다.

결국 스페인전의 승리만이 16강 진출의 희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인은 결코 만만한 상대는 아니다. 스페인은 여자월드컵에는 처음 본선에 올랐지만, 세계랭킹 14위로 한국(18위)보다 4계단이 높다.

특히, 브라질에 0-1로 아깝게 패하면서 1무1패를 기록하고 있어 한국과의 경기 결과에 따라서는 16강 진출도 노릴 수 있어 거센 공격이 예상된다.

한국이 본선 첫 승점의 여세를 몰아 스페인을 상대로 본선 첫 승과 함께 16강 진출의 기염을 토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