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베이징] 볼트가 운동화 치켜든 까닭은

[굿모닝 베이징] 볼트가 운동화 치켜든 까닭은

김영중 기자
입력 2008-08-20 00:00
업데이트 2008-08-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림픽 경기장에는 광고판이 없다. 국가의 명예를 위해 뛰는 아마추어의 스포츠 제전인 올림픽이 상업화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뜻일 게다.

그러나 뒤에서는 선수들이 금메달을 따기 위해 뜨거운 열정을 쏟는 것 못지않게 치열한 마케팅 혈전이 펼쳐진다. 효과가 대단하기 때문이다. 베이징올림픽 공식후원사 삼성전자는 중국에서 지난 6월 휴대전화 264만대를 판매, 지난해 같은 기간(136만대)보다 두 배가량 늘어났다고 한다. 점유율도 20%까지 끌어올렸다. 이처럼 삼성은 올림픽을 후원하면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거듭 태어났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12개 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으며 액수는 극비다. 여기에 대회를 개최하는 올림픽조직위원회도 후원 기업을 선정, 돈을 거둬들인다. 베이징올림픽조직위원회(BOCOG)는 아디다스와 맥도널드 등 11개 기업과 계약을 맺었다.

일부 기업들은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 효과를 내는 ‘엠부시 마케팅’을 노린다. 엠부시 마케팅은 비후원사가 올림픽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지만 후원 업체인 것처럼 광고, 홍보 활동을 펼치는 ‘매복 마케팅’을 일컫는다.

당연히 IOC와 BOCOG는 ‘돈줄’을 보호하기 위해 이를 철저하게 막는다. 메인프레스센터(MPC)에 있는 후원 기업 물건이 아닌 것 모두에는 상표에 테이프를 붙여 보이지 않도록 했다. 심지어 화장실 변기에 있는 상표까지도 모두 가렸다. 그러나 막는 데는 한계가 있는 법이다. 상표 가리기는 오히려 호기심을 자극한 것 같다. 궁금함을 못 이기고 테이프를 뜯어내려 한 흔적이 곳곳에 보였고, 테이프 위에다 볼펜으로 상표를 적는 반란(?)도 보였다.

또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신발, 수영복까지 특정 업체의 물건을 착용하라고 제재할 수 없으니 엉뚱한 회사가 덕을 본다.16일 밤에 열린 육상 1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우사인 볼트(자메이카)는 퓨마가 특별 제작한 육상화를 신고 뛰었다. 개인적으로 퓨마의 후원을 받는 볼트는 신발을 벗어 얼굴에 대고 사진기자들에게 포즈를 취하는 예를 갖췄다.

경기장에서만 광고를 볼 수 없지 실상은 더 치열하고 노골적인 마케팅 싸움을 벌이는 곳이 올림픽 현장이다. 티베트 독립 문제 등 정치적인 사안을 거론하는 게 스포츠 정신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IOC는 이런 치열한 돈 싸움을 즐길 게 분명하다. 어쨌든 돈이 들어올 것이기 때문이다.

베이징 김영중기자 jeunesse@seoul.co.kr

2008-08-20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