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MLB 사인 훔친 단장·감독 퇴출… 한국 스포츠에 ‘경종’

MLB 사인 훔친 단장·감독 퇴출… 한국 스포츠에 ‘경종’

최병규 기자
입력 2020-01-14 22:20
업데이트 2020-01-15 0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휴스턴 구단, 르나우 단장·힌치 감독 해고…2017년 전자장비 이용해 사인 훔쳐 우승

‘당시 코치’ 코라 보스턴 감독 중징계할 듯
국내 스포츠계도 사인 훔치기·승부조작
“신뢰 잃으면 스포츠는 없다” 교훈 새겨야
이미지 확대
전자장비를 이용한 사인 훔치기로 파문을 일으켜 14일 나란히 해고된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AJ 힌치(왼쪽) 감독과 제프 르나우 단장이 지난해 10월 5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아메리칸리그 디비전 2차전에 앞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게티/AFP 연합뉴스
전자장비를 이용한 사인 훔치기로 파문을 일으켜 14일 나란히 해고된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AJ 힌치(왼쪽) 감독과 제프 르나우 단장이 지난해 10월 5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아메리칸리그 디비전 2차전에 앞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게티/AFP 연합뉴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서 전자장비를 이용해 ‘사인 훔치기’를 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을 일으킨 구단의 단장과 감독이 해고됐다. 이번 파문이 야구의 신뢰도를 떨어뜨려 팬들의 외면을 받을 것을 우려해 초강경 중징계 조치를 내린 것으로, 사인 훔치기와 승부조작 등 부도덕성이 심심치 않게 도마에 오르는 한국 스포츠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지적이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14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사인 훔치기와 관련해 애스트로스의 제프 르나우 단장과 AJ 힌치 감독에 대해 2020년 1년간 무보수 자격 정지를 확정했다. 아울러 휴스턴 구단은 2020∼2021년 신인 드래프트 1∼2라운드 지명권을 박탈당했고, 메이저리그 규정상 최대 벌금인 500만 달러 징계도 받았다. 이와 함께 지난해 10월 20일 월드시리즈 진출을 확정한 뒤 벌어진 클럽하우스 축하 파티에서 여기자들에게 한 부적절한 발언으로 해고된 브랜던 타우브먼 전 부단장도 1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의 징계 발표 이후 짐 크레인 휴스턴 구단주는 즉각 르나우 단장과 힌치 감독을 동반 해고했다.롭 만프레드 메이저리그 커미셔너는 “휴스턴 구단의 사인 훔치기가 실제 경기에 영향을 미쳤는지 판단하긴 어렵지만 가능성만으로도 경기에 상당한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징계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크레인 구단주는 징계를 피했다. 사무국은 “크레인 구단주는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오히려 그는 보스턴 구단에서 비슷한 논란이 일어난 뒤 ‘우리에겐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하라’고 르나우 단장에게 지시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사인 훔치기를 폭로하는 언론 보도 직후인 지난해 11월 13일 조사위원회를 꾸린 뒤 2개월 동안 진상 조사를 벌였다.

휴스턴에 대한 징계는 일단락됐지만, 파문은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논란의 중심에 있는 알렉스 코라 당시 휴스턴의 벤치 코치이자 현 보스턴 레드삭스 감독도 중징계를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코라 감독은 사인 훔치기 아이디어를 낸 핵심 인물로 꼽힌다. 그는 2018년부터 보스턴 감독을 맡았는데 이 기간 보스턴도 사인 훔치기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휴스턴은 2017년 월드시리즈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4승3패로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 추악한 사인 훔치기의 도움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우승 트로피에 씻어낼 수 없는 불명예를 새기게 됐다.

지난해 국내 프로야구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LG 트윈스는 특정 상대팀의 구종별 사인 내용을 면밀하게 적은 뒤 더그아웃에 붙여 놓은 게 알려지면서 크게 논란이 됐다. LG 구단의 사과문으로 일단락되긴 했지만 이는 ‘신뢰를 잃으면 스포츠는 설 땅이 없다’는 격언을 분명하게 깨우쳐 준 사건이었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20-01-15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