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올림픽 사상 최다 금메달 보인다

한국, 올림픽 사상 최다 금메달 보인다

입력 2012-08-08 00:00
업데이트 2012-08-08 0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역대 최다인 베이징때 금메달 13개에 육박’메달밭’ 태권도에서 최다 金 기록경신 유력

특별취재단= 한국이 런던올림픽에서 역대 올림픽 사상 최다 금메달 기록을 새로 쓸 태세다.

한국이 지금까지 동·하계 올림픽을 통틀어 금메달을 가장 많이 따낸 대회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으로 한국은 그때 금메달 13개를 획득했다.

런던올림픽을 앞두고 금메달 10개 이상으로 종합 순위 10위 안에 들겠다는 ‘10-10’ 목표를 내건 한국은 5일(이하 현지시간) 사격 남자 50m 권총에서 진종오(33·KT)가 금메달을 따내 일찌감치 금메달 10개를 채웠다.

1차 목표를 달성한 이후에도 한국의 금메달 행진은 멈추지 않았다.

7일 체조 남자 도마에서 양학선(20·한국체대)이 한국 체조 사상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거는 쾌거를 이뤄냈고 8일에는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6㎏급에서 김현우(24·삼성생명)가 금메달을 추가했다.

2004년 아테네대회 정지현 이후 8년 만에 나온 레슬링 금메달로 한국은 이날까지 금메달 12개를 획득, 4년 전 세운 최다 금메달 기록에 1개 차로 다가섰다.

8일부터 한국의 전통적인 강세 종목인 태권도가 시작하고 복싱 남자 라이트급(60㎏) 한순철(28·서울시청)과 여자핸드볼 등이 4강에 올라 있어 금빛 소식을 기다릴 만하다.

특히 태권도에서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남자 80㎏ 이상급 차동민(26·한국가스공사)과 여자 67㎏급 황경선(26·고양시청)이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꼽히고 있고 남자 58㎏급 이대훈(20·용인대), 여자 67㎏ 이상급 이인종(30·삼성에스원)도 세계 정상급 기량을 갖고 있어 4년 전 대회처럼 4체급 석권 가능성도 엿보고 있다.

베이징올림픽 때와 종목별 금메달 분포를 비교하면 4년 전에는 태권도 4개, 양궁과 역도 2개씩, 유도와 사격, 수영, 배드민턴, 야구에서 금메달이 나왔다.

이번에는 태권도가 아직 시작하지 않은 가운데 양궁과 사격에서 3개씩, 펜싱과 유도가 2개, 레슬링과 체조에서 1개씩 금메달을 획득했다.

한편 금메달 수 기준 종합 순위로 따져 한국이 가장 높은 순위에 오른 대회는 1988년 서울 대회로 당시 한국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로 종합 4위에 올랐다.

2008년 베이징에서는 금메달은 13개로 서울 대회보다 1개 더 많았으나 순위는 7위였다.

한국 선수단 관계자는 “2008년 베이징대회의 금메달 13개를 넘어 역대 최다 금메달을 따낼 수 있도록 남은 대회 기간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