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무는 프로 야구…여무는 프로 축구

저무는 프로 야구…여무는 프로 축구

강국진 기자
입력 2019-07-18 22:48
수정 2019-07-19 0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관중 수 희비 갈리는 KBO리그·K리그

이미지 확대
지난 14일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KBO리그 안방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 선수들이 두산 베어스에 패한 뒤 관중에게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만원 관중으로 유명한 사직야구장 관중석이 텅 비어 있는 모습이 눈에 띈다. 부산 연합뉴스
지난 14일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KBO리그 안방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 선수들이 두산 베어스에 패한 뒤 관중에게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만원 관중으로 유명한 사직야구장 관중석이 텅 비어 있는 모습이 눈에 띈다.
부산 연합뉴스
축구와 야구의 관중 수가 극명한 희비쌍곡선을 그리고 있다. 물론 절대적인 규모 자체는 야구가 여전히 압도적이지만 전반적인 추이는 상승세와 하락세로 확연히 갈린다.
이미지 확대
지난 10일 대구 북구 DGB대구은행파크에서 열린 프로축구 K리그1 대구FC와 전북 현대 경기에서 양 팀 선수들이 경기장을 가득 메운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을 다투고 있다. 대구 뉴스1
지난 10일 대구 북구 DGB대구은행파크에서 열린 프로축구 K리그1 대구FC와 전북 현대 경기에서 양 팀 선수들이 경기장을 가득 메운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을 다투고 있다.
대구 뉴스1
프로축구 K리그1(1부리그)은 125경기를 치른 18일 현재 전체 관중 수가 102만 2032명이다. 경기당 평균 관중 수는 8176명이다. K리그1은 지난해에는 개막 186경기 만인 9월 30일 100만 관중을 돌파했다. 100만 관중 돌파는 지난해보다 날짜로는 2개월 16일, 경기 수로는 61경기 빠르다. K리그는 2012년부터는 실제 입장한 관중 수, 2018년부터는 유료 관중만 집계했다.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속에서도 지난해보다 관중이 더 늘었다.

프로야구는 지난 14일 개막 후 463경기 만에 500만 관중을 돌파했다. 작년보다 37경기가 늦은 기록이다. 야구는 꾸준히 관중 수가 늘어난 끝에 2016년에는 한국 프로 스포츠 사상 첫 800만 관중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지금 추세라면 2016년부터 3년 연속 달성했던 800만 관중 기록 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축구와 야구의 희비가 엇갈리는 건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부 요인은 역시 경기력 자체다. 프로축구는 전북 현대가 독주할 거란 예상을 깨고 전북, 울산 현대, FC서울 3강 구도다. 경기가 끝날 때마다 순위가 요동친다. 거기다 대구FC는 올해 새로 개장한 DGB대구은행파크 효과에 상위권까지 유지하며 흥행 돌풍을 이어 가고 있다. 대구는 경기당 평균 1만 455명으로 서울(1만 7193명), 전북(1만 4445명)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다. 하위권으로 처져 있는 제주 유나이티드 말고는 모든 구단이 관중이 늘었다.
이미지 확대
프로야구는 시즌 초부터 일찌감치 5강 구도가 정해졌다. 야구의 특성상 후반기 대반전을 이루기 쉽지 않아 보인다. 수차례 도마에 오른 프로답지 못한 경기력도 팬들을 멀어지게 한다. 특히 티켓 파워가 막강한 롯데 자이언츠,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는 올스타 팬투표에 한 명도 선정되지 못했을 정도로 모두 부진하다. 새 구장 효과를 보고 있는 NC 다이노스를 빼면 모든 팀에서 관중이 감소했다.

하반기에도 축구는 전북·울산·서울의 선두경쟁을 비롯해 다양한 이벤트가 기다리고 있다. 26일 유벤투스와 K리그 올스타 경기를 비롯해 2022 카타르월드컵 2차 예선에서 남북전이 예정돼 있다. 이에 비해 야구는 만년 꼴찌였던 kt위즈가 5강 싸움을 벌이는 걸 빼면 특별한 흥행요인을 찾기가 쉽지 않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19-07-19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