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사이언스] 의사들도 헷갈리는 ‘롱코비드’ 진단 기준 나왔다

[달콤한 사이언스] 의사들도 헷갈리는 ‘롱코비드’ 진단 기준 나왔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4-27 17:07
업데이트 2022-04-27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연구진, 코로나확진자들과 코비드 감염 후유증 진단기준 개발

코로나 감염 장기 후유증(롱 코비드) 진단 방법 개발
코로나 감염 장기 후유증(롱 코비드) 진단 방법 개발
영국 카디프대 제공
코로나19가 여전히 우리 주변을 어슬렁거리고 있지만 대확산 2년이 지나면서 한국은 물론 전 세계는 ‘위드 코로나’를 준비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는 줄어들고 있지만 확진 판정 이후 후유증으로 고생하는 이들은 점점 늘고 있다. 바로 ‘롱 코비드’(코로나 감염 후유증)이다. 문제는 후유증 증상이 다양하다보니 의료진들도 롱 코비드 진단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에 영국 버밍엄대 응용보건연구소, 국립보견연구소(NIHR), 버밍엄의대병원, 국립보건데이터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롱 코비드 증상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영국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BMJ’ 4월 27일자에 실렸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확진 후 최소 2개월 이상 지속되는 증상을 롱 코비드로 정의하고 있으며 전체 확진자의 10% 가량이 롱 코비드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에서만 롱 코비드에 시달리는 사람은 약 130만명, 전 세계적으로는 1억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신체 여러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롱 코비드 증상은 약 200개 이상으로 호흡곤란, 피로, 브레인 포그 현상 등이 대표적이다. 심한 경우는 1년 넘게 후유증을 호소하며 일상생활에 어려워하고 있다.

연구팀은 롱 코비드를 앓고 있거나 경험했던 환자 274명과 함께 롱 코비드 진단 도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의 증상과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번에 개발된 평가 기준에 따르면 롱 코비드는 호흡 곤란, 혈관계 이상, 피로감, 기억력·판단력 감퇴, 의사소통에 어려움, 수면장애, 근골격계 이상, 피부질환, 탈모, 시력저하, 이비인후기관 이상, 위장장애, 신경정신장애, 여성의 생리불순, 남성 전립선 이상 및 성적장애 등의 증상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광진구가 운영하는 ‘코로나 후유증(롱코비드) 안심 상담클리닉’. 광진구 제공
서울 광진구가 운영하는 ‘코로나 후유증(롱코비드) 안심 상담클리닉’. 광진구 제공
이번 연구를 이끈 사라 휴즈 버밍엄대 박사는 “롱 코비드 환자들은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데 의료진이 이런 증상을 인지해 진단하기 쉽지 않다”며 “이번에 개발한 롱 코비드 진단 기준은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보건 정책 입안자들이 롱 코비드 관리를 위한 정책을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