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영산강에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만들 수 있는 세균 101종 발굴

섬진강, 영산강에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만들 수 있는 세균 101종 발굴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9-19 14:23
업데이트 2022-09-19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에서 미발견됐던 세균 101종 섬진강, 영산강에서 무더기 발견
101종 중 51종 다당류, 단백질 분해효소 생산 가능 확인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활용가치 기대

이미지 확대
봄은 남녘 바다에서 온다. 뭍의 끝자락인 하동 일대 해변을 점령한 봄의 푸른 기운은 이제 섬진강을 따라 내륙으로 내달릴 기세다.
봄은 남녘 바다에서 온다. 뭍의 끝자락인 하동 일대 해변을 점령한 봄의 푸른 기운은 이제 섬진강을 따라 내륙으로 내달릴 기세다.
국내 연구진이 섬진강과 영산강에서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활용할 수 있는 미지의 세균을 찾아냈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2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영산강과 섬진강 권역을 대상으로 ‘담수 원핵생물 조사·발굴 연구’를 통해 세균 발굴 조사와 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성과를 얻었다고 19일 밝혔다.

자원관에 따르면 영산강과 섬진강에서 그동안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세균을 각각 42종, 59종을 찾아냈다. 세균은 원시적 세포핵을 갖고 단일 세포로 이뤄진 생물종으로 원핵생물 중 하나이다. 동식물의 사체와 배설물을 분해하는 등 자연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유익한 세균은 산업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나 실험실 환경에서는 배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번에 발견된 101종의 세균은 프로테오박테리아문 59종, 액티노박테리아문 25종, 박테로이데테스문 9종, 퍼미큐티스문 6종, 아키도박테리아문 1종, 베루코마이크로비아문 1종이다. 연구팀은 특히 아키도박테리아문, 베루코마이크로비아문의 세균을 확보한 것에 의미를 크게 두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가생물종목록 중 세균류는 3586종이다. 이 중 아키도박테리아문과 베루코마이크로비아문은 각 3종과 6종에 불과해, 이번에 발견된 미기록종이 정식 등재되면 한 종씩 늘어나게 돼 국가생물다양성 확보라는 차원에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미트수아리아 키도사니타비다(Mitsuaria chitosanitabida) 균주의 효소 활성
미트수아리아 키도사니타비다(Mitsuaria chitosanitabida) 균주의 효소 활성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또 이번에 발견된 101종의 세균 중 절반이 넘는 51종이 1~7가지 다당류나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전남 장성군 황룡면의 영산강 지류에서 발견된 미트수아리아 키도사니타비다 종은 다당류 및 단백질 분해효소를 7종이나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세균은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상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화학촉매를 대체하는 생물자원을 이용한 효소산업이 성장 중에 있지만 국내에서는 90% 이상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산업적 가치가 높은 고유 담수세균이 식품 및 의약품 효소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