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증선·인가 비리’ 前공무원 1∼5년 구형

‘세월호 증선·인가 비리’ 前공무원 1∼5년 구형

입력 2014-11-17 00:00
업데이트 2014-11-17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포지원, 내달 11일 선고

검찰이 세월호 증선, 인가 과정에서 금품과 향응을 받은 혐의로 인천항만청 등의 전직 공무원들에게 징역 1∼5년형을 구형했다.

광주지검 목포지청은 17일 박모(59) 전 인천항만청 선원해사안전과장에 대한 결심 공판에서 특가법과 뇌물수수·공여 등의 혐의로 징역 5년 벌금 1억원, 추징금 3천640만원을 구형했다.

검찰은 또 김모(60) 전 인천항만청 해무팀장은 징역 2년·벌금 3천만원 추징금 1천506만원을, 장모(57) 전 인천해경 해상안전과장은 징역 1년·벌금 200만원 추징금 95만원을, 이모(43) 인천해경 해상안전과 직원은 징역 2년 벌금 150만원·추징금 57만원을 각각 구형했다.

청해진해운 김한식(71) 대표는 징역 2년, 송모(53) 여수지역본부장은 징역 3년 추징금 4천592만원, 박모(73) 전 상무는 징역 2년 추징금 464만원, 조모(53) 여객영업부장은 징역 2년을 구형했다

박 전 과장 등 공무원들은 지난해 세월호 취항을 앞두고 오하마나호가 단독으로 출항하던 인천-제주항로의 증선(사업계획변경)과 운항관리규정 심사 과정의 비리혐의로 기소됐다.

검찰은 “인·허가를 관리감독하는 것은 공무원의 중요한 역할인데 죄의식도 갖지 않은 채 업체 위에 군림하고 있다”면서 “세월호의 증선인가 과정은 금품과 향응이 뿌리깊이 존재해 있는 총체적 비리”라고 규정했다.

이어 청해진해운 측에 대해서도 “세월호의 증선인가를 신청하며 인도일 등을 조작하는 등 교묘한 수법까지 동원하고 뇌물공여도 일대일의 관계가 아닌 조직적 범행이었다”고 지적했다.

박 전 과장 등 공무원들과 청해진해운 관계자 등은 2011년 9월 세월호 조건부사업과 2013년 증선 인가 과정에서 금품과 향응제공 등에 ‘사실무근’이라며 전면 부인했다.

광주지법 목포지원은 다음달 11일 오전 ‘세월호 증선 비리’에 대한 선고공판을 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