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교수 1인당 학생 1.6명, 로스쿨 4분의 1 수준”

“의과대학 교수 1인당 학생 1.6명, 로스쿨 4분의 1 수준”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10-18 16:32
업데이트 2023-10-18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전국 의과대학 전임교원 1명당 가르치는 학생 수가 채 2명을 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대, 로스쿨 등 다른 전문학과 대학·대학원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당장 의대 정원을 늘려도 감당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 의원(국민의힘)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의과대학에 재직 중인 전임교원은 1만 1502명, 학생 수는 1만 8348명이었다. 전임교원 한 사람이 담당해야 할 학생 수는 평균 1.6명 수준이다.

전임교원 대 학생 비율은 인제대, 을지대, 차의과대, 가톨릭대, 성균관대, 울산대 등이 특히 적었는데, 울산대 의대의 경우 학생 수가 240명인데 반해 전임교원은 650명이나 돼 학생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의대의 전임교원 당 학생 수 비율은 다른 분야와 비교해도 특별히 낮은 편이었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은 전문대학원이지만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가 평균 7.6명으로 의대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전국 35개 대학의 약대도 전임교원(대학원 소속 제외) 1인당 학생 수는 평균 14.9명으로 의대와 차이가 컸다.

의사단체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논리로 “당장 학생들을 가르칠 교수가 부족해 의대 교육이 부실화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대학병원에서 외래 진료와 수술까지 담당해야 하는 의대 전임교원과 다른 전문대학원의 교원 비율을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학생들을 가르칠 여건이 부족해 의대 정원을 늘리면 안 된다는 지적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이 의원의 주장이다.

이 의원은 “의대 교원은 최소 10년 이상 훈련을 거쳐 양성된 교육 자원”이라며 “필수 의료 위기 등으로 의사 인력 양성이 중요한 시점에 더 많은 후학을 양성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 의료접근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