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급 감염병’ 된 코로나… 국민은 혼란, 방역 부담은 새 정부로

‘2급 감염병’ 된 코로나… 국민은 혼란, 방역 부담은 새 정부로

이현정 기자
이현정, 고혜지 기자
입력 2022-04-25 20:50
업데이트 2022-04-26 02: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23일 진료비 등 지원 중단
전문가 “재유행” 속도조절 요구
격리·치료 비용 환자 문의 빗발

인수위 새 방역대책 내일 발표

60세 이상 4차 접종 시작
60세 이상 4차 접종 시작 25일 서울 강서구 부민병원에서 한 어르신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이날부터 사전 예약을 한 60세 이상 고령층의 코로나19 4차 접종이 시작됐다.
사진공동취재단
약 1700만명을 감염시키고 2만 2243명의 목숨을 앗아간 코로나19가 메르스(1급)보다 낮은 2급 감염병이 됐다. 등급 하향조정에 따른 격리의무 해제, 생활비·유급휴가비·치료비 지원 중단 조치는 다음달 23일 이후 이뤄진다. 이번 조치로 현 정부는 ‘K방역’의 마침표를 찍게 됐지만 허술해진 방역과 각종 지원 중단에 따른 국민 불만은 새 정부가 떠안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은 25일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감염병의 종류’ 고시를 개정해 1급 감염병으로 관리하던 코로나19를 2급 감염병으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현재의 치료·격리 의무는 ‘이행기’인 약 4주 동안 유지된다. 이행기에는 확진자 신고 기간이 ‘24시간 내’로 조정되는 것 외에 달라지는 게 없다. 현 정부는 등급만 조정할 뿐이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방역 완화로 5월 말에 확진자가 늘 수 있는 데다 치료비마저 국민이 내게 하면 그 부담을 새 정부가 지게 된다”며 “퇴임을 앞두고 팡파르를 울리려 무리수를 두는 게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속도조절을 요구하고 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1급으로 둬도 동네 병·의원이 환자를 보는 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치명률이나 전파율이 현저하게 떨어졌다면 몰라도 지금은 두 상황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격리의무가 해제되면 아파도 쉬지 못해 중환자가 발생할 수 있고 직장에도 퍼진다”며 “5월 중하순까지 확진자를 최대한 줄이지 못하면 가을쯤 재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등급을 다시 1급으로 올릴 가능성에는 “발표한 대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선을 그었다. 홍경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대변인은 이날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나, 코로나특위에서 1급으로 올리는 것은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다.

차기 정부의 코로나19 종합방역대책은 27일에, 소상공인 지원방안 등은 오는 28~29일 중 공개될 예정이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은 “롱코비드와 고위험군 대책을 포함해 100일 이내 집중 이행이 필요한 핵심 과제를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고혜지 기자
2022-04-26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