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10만명 넘었다… 새 거리두기 딜레마

확진 10만명 넘었다… 새 거리두기 딜레마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2-18 01:42
업데이트 2022-02-18 0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중증도 급증… 오늘 조정안 발표

하루 새 76명 늘어 중환자 389명
‘6인·10시·3주’ 방안 적용 가능성 
전문가 “이미 의료 현장은 지옥”
정부 어떤 결론 내리든 방역 부담


위중증·사망자가 17일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섣부른 방역 완화가 위기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주 초만 해도 위중증 환자가 급속히 늘지 않아 방역 조기 완화론에 힘이 실렸지만, 현재는 뚜렷한 반등세다.

이날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0만 870명으로, 10만명대를 첫 돌파했다. 위중증 환자 역시 하루 새 76명 급증한 389명(0시 기준)으로 집계됐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말부터 200명대를 유지하다 지난 14일(306명) 300명대로 올라섰고, 사흘 만에 400명대에 근접했다. 약 2주 전 신규 확진자가 2만명 수준이었을 때 감염된 이들이 위중증으로 악화한 것이다. 지금은 확진 규모가 5배가량 커졌으니, 앞으로 2~3주 시차를 두고 중환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8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막판까지 사적모임인원 제한을 현행 6인으로 유지하고 영업시간을 오후 10시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을 고려해 다음달 13일까지 3주 동안 새 거리두기를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당초 정부는 사적모임인원 제한도 8인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0만명에 육박하는 등 폭발적 확산세를 고려해 거리두기 완화 폭을 최소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어떤 결론을 내리든 방역 악화 부담을 피할 순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페이스북에서 “이미 현장은 지옥”이라며 “거리두기를 완화하겠다면 늘어나는 환자 관리가 가능한지 보여 줘야 한다. 확진자 규모가 더 커지면 의료기관부터 축소 진료를 해야 하는 상황이 시작된다”고 지적했다.

미국처럼 오미크론 변이가 휩쓸고 간 후 확연히 안정된 모습을 보이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문제는 어디가 정점인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앞서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확산 예측을 연구하는 심은하 교수는 다음달 중순 27만명 수준에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유행 정점 예측은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 정확한 시점과 규모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2022-02-18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