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인·9시’ 거리두기 추가 연장할 듯… 내일 조정안 발표

‘6인·9시’ 거리두기 추가 연장할 듯… 내일 조정안 발표

이슬기 기자
입력 2022-02-02 22:20
업데이트 2022-02-03 0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국 “7일 시행 앞두고 조정 검토”
오미크론 치명률 등 감안해 결정

이미지 확대
2일 서울의 한 호흡기전담클리닉에 일반 외래 환자의 동선과 분리된 코로나19 환자 전용입구가 설치돼 있다. 3일부터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는 새 체계를 가동해 선별진료소뿐 아니라 임시선별검사소, 호흡기전담클리닉 등도 새 검사 체계에 동참한다. 연합뉴스
2일 서울의 한 호흡기전담클리닉에 일반 외래 환자의 동선과 분리된 코로나19 환자 전용입구가 설치돼 있다. 3일부터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는 새 체계를 가동해 선별진료소뿐 아니라 임시선별검사소, 호흡기전담클리닉 등도 새 검사 체계에 동참한다.
연합뉴스
설 연휴 마지막 날인 2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역대 최다인 2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6인·9시’인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추가 연장할 가능성도 한층 높아졌다. 사적 모임 인원을 최대 6명으로, 식당·카페 등 영업시간을 오후 9시까지로 제한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는 지난달 17일 시작했으며 오는 6일 종료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에 대한 부분들은 검토에 착수한 상황”이라며 “최대한 금요일(4일) 결정을 목표로 사회적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7일부터 시행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손실보상 등 추가 지원에 소극적이다 보니 거리두기 강화를 위한 국민 동의를 받기도 쉽지 않다. 손 반장은 지난달 27일 백브리핑에서 설 연휴 후 거리두기 조정 방침에 대해 “가급적 거리두기 조치를 강화하지 않는 쪽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아울러 “확진자가 늘었다고 거리두기를 하는 게 아니다. 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늘고 의료붕괴 상황이 벌어질 때 사회경제적 피해를 감수하고 거리두기로 확진자 규모를 줄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미크론 변이 전파력이 델타 변이보다 2배 이상 빠르지만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낮다는 점 역시 거리두기 강화 가능성을 낮게 보는 근거가 된다. 정부는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근거로 신규 확진자뿐 아니라 위중증 환자 추이와 의료체계 여력도 고려한다.



이슬기 기자
2022-02-03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