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암학회 “유방 엑스선 첫 검진 45세로 늦춰라”

美 암학회 “유방 엑스선 첫 검진 45세로 늦춰라”

박상숙 기자
입력 2015-10-21 23:04
업데이트 2015-10-22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세·매년’ 기존 지침 뒤집어

미국암학회가 여성들에게 유방암 검진을 위한 엑스선 촬영(유방조영술)의 첫 검사 시기를 늦추고 횟수도 줄이라는 새 기준을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암학회는 이날 45세부터 유방조영술 검진을 시작하되 매년 할 필요는 없다며 기존 지침을 뒤집었다. 2003년 발표한 가이드라인은 40세부터 매년 받으라고 권장하고 있다. 지침 변경 이유는 유방조영술이 45세 미만 여성에게 별로 효과적이지 않으며 오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 때문이다. 암학회는 “45세 미만의 젊은 여성은 유방 조직이 단단해 엑스선 촬영으로 종양을 찾아내기 어렵다”면서 “종양이 악성으로 발전할지, 놔둬도 괜찮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유방조영술로 암 진단을 받은 여성이 하지 않아도 될 방사선 치료와 수술을 받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

암학회에 따르면 캐나다에서는 유방암 검진을 받은 여성 4만 4925명 가운데 106명이 오진으로 불필요한 유방암 치료를 받았다. 따라서 45세부터 유방암 검진을 해도 늦지 않고 폐경기 이후엔 유방암이 더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55세에 이르러서는 2년에 한 번씩 받으면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 기준은 유방암 진단에 관한 논란을 가열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에서 유방암과 관련해 기준을 제시하는 3대 주요 기관의 첫 검진 시기가 제각각이어서 혼란도 예상된다. CNN에 따르면 암학회 45세, 미국대학산부인과학회는 40세, 미국질병예방특별위원회는 50세를 첫 검진 나이로 권장하고 있다.

한편 여성단체들을 중심으로 오진율이 높더라도 조기 검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연구진이 디지털로 전환된 유방조영술 영상을 보지 않고 과거 필름으로만 연구를 진행했다며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도 나왔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5-10-22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