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입력 2015-09-13 23:12
업데이트 2015-09-13 2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말초혈관 질환 치료하려면 담배부터 끊어야

우리 몸에는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을 보내는 동맥과 심장으로 혈액을 되돌리는 정맥이 있다. 이중 동맥이 막히거나 혈관 벽이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말초혈관 질환을 동맥류와 동맥경화증이라고 한다.

동맥경화증은 수도관에 찌꺼기가 쌓이듯 동맥 내부에 지방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주로 심장 혈관인 관상동맥이나 다리로 가는 장골동맥과 대퇴(넓적다리)동맥, 뇌로 가는 경동맥에 동맥경화증이 잘 나타난다. 동맥경화는 대개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들이 증상을 느낄 때쯤이면 이미 혈관의 절반 이상이 막힌 경우가 많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등이 있거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혈관이 더 빨리 막히기도 한다.

동맥류는 동맥벽의 특정부위가 약해져 늘어나는 질환으로, 주로 복부대동맥에 발생한다. 복부대동맥은 배의 뒤쪽 후복강이라는 비교적 넓은 공간에 있어, 동맥류가 어른 주먹만큼 커질 때까지도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민감한 사람이거나 마른 사람은 누웠을 때 심장박동에 맞춰 움직이는 혹을 느낄 수 있어 동맥류를 발견하지만, 보통 사람은 동맥류가 주변 장기를 눌러 통증을 일으킬 만큼 커진 뒤에야 발견한다. 이 정도면 동맥벽이 지탱할 수 있는 한계치를 넘어선 상태다. 언제든지 터질 수 있다는 얘기다. 수도관이 터지면 물바다가 되듯 복무대동맥에 생긴 동맥류가 터지면 뱃속에 피가 가득 차 사망할 수도 있다.

동맥류는 동맥경화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예방법도 같다. 무엇보다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 담배는 끊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이 있는 환자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약물치료 등으로 질환을 잘 관리해야 한다. 금연은 가장 힘든 치료지만 가장 효과적인 치료이기도 하다. 동맥경화증을 치료하려면 반드시 담배를 멀리해야 한다.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다리 동맥이 막힌 환자는 나이, 사회 활동 범위, 동반 질환, 현재 환자의 상태 등을 모두 고려해 치료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다리를 절단할 수도 있어서다. 절단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치료를 할 수도, 더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치료를 할 수도 있다.

반면 복부대동맥류는 시한폭탄처럼 언제든 터질 수 있어 동맥류로 인한 사망을 막는 게 급선무다. 경동맥은 합병증인 뇌졸중 예방을 목표로 치료한다.

■도움말 권태원 서울아산병원 혈관외과 교수
2015-09-14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