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입어 우는 아이, 깨끗한 천 감싸고 병원 데려가야

화상 입어 우는 아이, 깨끗한 천 감싸고 병원 데려가야

입력 2015-09-06 18:26
업데이트 2015-09-07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린이 환자 중 1~4세 영·유아 68%

지난해 발생한 화상 환자 가운데 9세 이하 아동 환자의 비중이 16.9%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병원을 찾은 화상 환자 수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어린이 환자 가운데서도 1~4세 영유아(67.7%)가 가장 많았다. 영유아는 기거나 걷기 시작하면서 본능적으로 물건을 손으로 잡으려 하기 때문에 화상을 입기 쉽다. 게다가 피부 두께가 성인보다 얇아 흉터, 기능장애 등 후유증이 크다.

아이가 화상을 입었을 때는 재빨리 응급처치를 해야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 뜨거운 물에 옷이 젖었다면 가위로 빨리 제거하고, 흐르는 찬물에 15~20분 정도 화상 부위를 충분히 식힌다. 단, 화상 부위가 넓으면 저체온증에 빠질 수 있으므로 몸 전체를 담가선 안 된다. 얼음을 직접 화상 부위에 대면 피부가 손상될 수 있고, 화상 상처를 소독하겠다며 소주를 부으면 오히려 악화될 수 있다.

병원에 갈 때는 깨끗한 천이나 붕대로 환부를 감싼다. 그래야 환부가 공기에 닿으면서 생기는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화상 연고를 바르고 병원에 가면 연고를 닦아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오히려 응급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

상처가 가벼워 굳이 병원에 갈 정도가 아니더라도 물집은 함부로 터뜨리지 않는다. 필요하면 감염에 유의해 멸균소독한 도구로 제거하고 이미 수포가 터졌다며 소독 후 항생제 연고를 바르는 게 좋다. 상처를 깨끗이 씻고 잘 건조한 뒤에는 마른 시트로 덮어둔다.

화상 치료를 받은 후에는 피부 기능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보습제를 바른다. 또 피부색이 돌아올 때까지 1년 정도는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는 게 좋다.

한순간 부주의로 아이가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불을 사용할 때는 아이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서 사용하고, 뜨거운 물을 다룰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주거지의 벽지, 아이 잠옷은 불에 잘 타지 않는 소재를 고르는 게 좋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9-07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