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비상] “격리 기간 2주보다 더 늘려야” 지적에… 당국 “문제 없다”

[메르스 비상] “격리 기간 2주보다 더 늘려야” 지적에… 당국 “문제 없다”

오세진 기자
입력 2015-06-16 23:50
업데이트 2015-06-17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잠복기 2주 지나 발병 잇따라 논란

기존에 알려진 바이러스 최대 잠복기인 14일을 넘겨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는 환자가 잇따르면서 격리 기간을 더 늘려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반면 정부는 현행 기준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1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최대 잠복기를 넘겨 메르스가 발병한 사람은 146번째 환자(55)와 154번째 환자(52)다. 이들은 지난달 27~28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14번째 환자(35)와 접촉해 메르스에 감염됐다. 복지부가 설정한 최대 잠복기를 고려하면 적어도 지난 9일 또는 10일까지는 메르스 증상이 나타났어야 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지난 13일에야 발열과 오한 증상이 나타났고 각각 이틀과 사흘 뒤에 메르스 환자로 분류됐다.

현재 메르스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들의 격리 기간은 최대 잠복기에 맞춰 14일이다. 그러나 최대 잠복기가 지나고도 감염 증상이 나타난 2명의 사례와 함께 149번째 환자(84), 151번째 환자(38), 152번째 환자(66)의 발병일도 명확하지 않아 “위험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려면 격리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복지부는 기존 방침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브리핑에서 “이미 민간 전문가들과 논의해 봤지만 현재로서는 잠복기를 최대 14일로 보고 관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면서 “현재까지 드러난 문제점도 없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견은 있지만 메르스 잠복 기간 수정에 대해서는 신중론이 훨씬 우세하다. 임승관 아주대 감염내과 교수는 “잠복기를 넘겨 발병한 사례도 다시 한번 정밀하게 역학조사를 해 증상이 정확히 언제 발현된 것인지, 혹시 앞서 경미한 증상이 간과되지는 않았는지 살펴봐야 한다”면서 “추가 조사가 필요하겠지만 개인의 유전적 특질에서 비롯되는 예외적인 일을 모두에게 적용해 격리 기간을 늘리면 사회적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설대우 중앙대 약대 교수는 “감염병이 발생하면 최대 잠복기의 1.5배 또는 2배만큼 격리 기간을 두는 것이 보통”이라면서도 “정부가 적용하는 메르스 잠복기(2~14일)는 메르스가 가장 많이 발병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환자 1000여명에 대한 역학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다. 물론 최대 6주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사례도 보고됐지만 이는 극히 예외적인 일”이라고 덧붙였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감염병 사전 예방 원칙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잠복기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그러나 격리 기간 연장에 따라 늘어나는 관리 대상 인원을 감당할 행정력이 모자라 정부가 변경을 꺼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6-17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