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아토피 피부염 환자 영양 균형 신경써야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아토피 피부염 환자 영양 균형 신경써야

입력 2014-11-03 00:00
업데이트 2014-11-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아토피 피부염은 무조건 음식을 가려 먹어야 한다?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가장 잘못된 상식 중 하나가 무조건 음식을 가려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피부염의 원인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무공해 유기농만 찾고 계란이나 우유 등 단백질을 꺼리다 보니 환자가 영양을 고루 섭취하지 못해 오히려 영양 부족으로 상태가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아토피 환자의 70~80%는 성장기 소아여서 무조건적인 식이 제한으로 자칫 영양실조나 영양 부족 상태에 빠지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할 위험이 크다.

아이가 아토피 증상을 보인다면 먼저 원인 물질, 원인 음식을 찾아야 한다. 피부 시험이나 혈액 검사를 하면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물질이나 악화 요인을 찾아낼 수 있다. 원인 식품은 환자에게 식품을 조금 먹여 본 후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발생 여부를 판정해 찾아낸다. 환자에게 일기를 쓰듯 그날 먹은 음식을 매일 기록하게 하는 것도 원인 식품을 찾는 데 매우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음식을 찾았다면 이 음식의 영양소를 대신할 다른 식품을 찾아 영양의 균형을 맞추면 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최근 급증하는 추세며, 우리나라 국민의 15~20%가 아토피로 고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살 이전에는 주로 얼굴에 발생하다가 이후에는 팔·다리가 접히는 부위에 발생하며, 12세 이후에는 이마·목,·손목·발목에 건조증과 태선화(피부가 딱딱해져 가죽처럼 두꺼워지는 현상)가 주로 나타난다.

아토피는 소아에서 흔히 나타나고 성인이 돼서도 증상이 지속될 수 있는 만성 피부질환이기 때문에 발병 초기 관리가 중요하다. 식품이나 집먼지진드기 같은 알레르겐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가족 중 천식·비염 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일단 염증이 생기면 빨갛게 부풀어 오르고 심하게 가려운 게 특징인데, 자꾸 긁으면 피부가 손상되고 염증이 악화하면서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급성기에는 피부가 갈라지고 세균 감염이 생겨 진물이 흐른다.

따라서 아이가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면 늘 피부를 깨끗하고 촉촉하게 해줘야 한다. 또 실내 온도와 습도가 급격히 달라지면 증상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면 소재 옷을 입히는 게 좋다. 손톱은 짧게 깎아야 아이가 피부를 긁더라도 상처가 나거나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소아천식아토피센터 홍수종 교수
2014-11-03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