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게 약]

[아는게 약]

입력 2014-07-07 00:00
업데이트 2014-07-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약 부작용 때론 이롭지만 설사·두통땐 복용 중단을

약의 부작용이란 우리가 생각했던 약효가 아닌, 의도치 않게 나타난 부가적인 작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처방 감기약에 수면제를 쓰지 않았는데도 감기약을 먹으면 졸음이 옵니다. 콧물을 멈추게 하는 게 콧물약의 주작용이라고 한다면 잠이 오는 작용은 부작용입니다.

그렇다면 부작용은 무조건 나쁜 것일까요? 운전이나 기계조작을 해야 하는 감기환자에게는 안 좋지만 잠을 충분히 자면 감기가 빨리 낫게 돼 환자들의 면역기능 회복에는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부작용을 이용해 우리에게 필요한 약을 만든 예로 ‘미녹시딜’이란 약이 있습니다. 미녹시딜은 원래 혈압약이었습니다. 그런데 혈압약 미녹시딜을 복용한 환자들에게서 털이 많이 나는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이를 탈모에 응용해 지금은 미녹시딜이 탈모약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부작용으로 우리에게 유익한 약을 만드는 경우도 있지만, 대다수는 우리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해를 끼치기도 합니다. 따라서 설사, 두통, 두드러기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면 복용을 즉시 중단하고 의사·약사에게 문의해야 합니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4-07-07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