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내복 전쟁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내복 전쟁

입력 2012-01-16 00:00
업데이트 2012-01-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복이 보이지 않았다. 횃대에도, 앞닫이에도 없었다. 자고 나니 날씨가 추워져 벌써 외양간의 소가 콧구멍에서 뿌옇게 김을 쏟아내고 있었다. 마당 한켠의 짚더미에 내린 서리를 보자니 오금이 저렸다. 그 바람에 방을 나서려다 ‘헉!’ 하고 다시 들어와 내복을 찾았으나 종적이 묘연했다. 며칠 전 “내복 여기 있으니 추우면 챙겨 입어라. 떨지 말고.” 했던 어머니 말씀이 또렷한데, 없다. 도리 없이 나일론 홑겹으로 마당에 내려서니 벌써 위아래 턱이 딱딱 맞물린다.

내복이 귀한 시절이었다. 겨울에는 헐렁한 바지를 껴입고 났다. 늘어진 양말목을 비집고 발목으로 통바람이 새들었으나 그딴 건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그날처럼 살을 저미듯 추운 날은 사정이 달랐다. 그래서 나와 형 둘 몫으로 두툼한 내복 한벌을 준비해 돌아가면서 입도록 했다. 평소에는 나도, 형도 그걸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딱 한번 입어 봤는데, 몸이 두두하게 굼떠 나중에는 갑갑증이 치밀었다. 뛰어놀다 보면 금방 등에 땀이 차는 것도 마뜩잖았다. 그런데, 날이 날인지라 이불 속에서부터 “오늘은 챙겨 입어야지.” 했던 내복을 먼저 일어난 형이 재깍 챙겨 입고 나간 것이다. 오늘도 아침 먹고 산에 올라 솔갈비를 한 둥치 해내려야 한다. 그래야 밥도 짓고, 군불도 땔 수 있다. 산에서 시린 발 동동거리며 맨 낯에 칼바람 맞을 생각을 하니 벌써 소름이 돋았다.

도리 없는 일이었다. 노란 서숙밥으로 아침을 때우고 서둘러 산으로 향했다. 어지간하면 양지녘은 바람이라도 잦건만 그날은 양지도 음지도 없이 추웠다. 손발을 놀릴 엄두가 안 나 잔뜩 웅크리고 있자니 가랑이 사이로 새어든 한기에 샅이 바짝 오르라들었다. 새삼 내복 생각이 간절했다. 너무 추워 어떻게 솔갈비 둥치를 엮었는지도 몰랐다. 나중에 집에 돌아와 두툼한 솜이불을 뒤집어 쓰고 누웠다가 그만 스르르 잠이 들었다. 추위가 고통임을 처음 알았다. 날씨가 추우면 인체의 대사기능이 그만큼 위축된다. 근육도 굳고, 신경도 무뎌진다. 겨울에 낙상 등 안전사고가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난방을 더 해야 해 사회경제적 손실도 크다. ‘날씬’을 조금만 양보하면 겨울이 훨씬 포근해진다. 춥다고 느껴지면 내복 챙겨 입는 게 상책이다. 그게 추운 시절을 견디는 가장 보편적인 지혜다.

jeshim@seoul.co.kr



2012-01-16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